
국내 직장인 10명 중 8명은 올해 여름휴가 계획이 있으며 이 중 10명 중 8명은 국내를 선호한다는 설문 조사 결과가 나왔다. 휴가를 떠날 직장인은 총 53만5000원을 휴가비로 쓸 예정이다.
30일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가 직장인 총 8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이날 공개한 ‘직장인 여름휴가 계획 및 정책과제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81.6%는 여름휴가를 갈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 중 83.5%는 국내 여행을 선호했다.
일정은 ‘2박3일(38.9%·복수 응답)’이 가장 많았고, ‘3박4일(22.7%)’, ‘1박2일(21.3%)’ 순으로 집계돼 짧지만 알찬 ‘미니 휴가’가 대세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여행지(복수 응답)는 강원권(34.9%)이 가장 많고, 경상권(27.9%), 제주(22.4%), 전라권(20.0%) 순이다. 해외여행을 계획했다는 직장인은 일본(50.9%)과 동남아(45.4%)를 주로 휴가지로 택했다.
1인당 휴가비는 지난해(48만9000원)보다 9.4% 증가한 평균 53만5000원으로 조사됐다. 전국 직장인 약 2000만명 중 절반이 여름휴가를 떠난다면, 국내에서만 약 1조원 이상의 소비가 발생하는 셈이다.
연령대별로는 30대 평균 지출(66만6000원)이 가장 많았다. 이어 20대는 52만7000원, 40대는 49만4000원, 50대는 44만6000원 순이었다.
휴가지에서의 활동은 절반에 가까운 49.3%(복수 응답)가 ‘휴식·자연 풍경 감상’을 꼽았고, 이어 ‘여행지 구경·관광(23.0%)’, ‘맛집 탐방(21.0%)’, ‘관광(20.2%)’ 등의 순이다.
아울러 여름휴가에서 희망하는 지원책(복수 응답)으로는 ‘숙박권 할인(50.8%)’이 가장 많았으며,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혜택 확대(36.5%)’, ‘교통비 할인(35.8%)’처럼 실제 지출을 줄일 수 있는 체감형 혜택 등이 눈에 띄었다.
대한상의 김민석 유통물류정책팀장은 “정부에서 적극적인 추경 계획을 밝힌 만큼 숙박권 할인, 지역 상품권 등 실질적인 지원 정책을 통해 휴가철 소비를 내수 활성화로 연결할 기회를 놓쳐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