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미디어 파사드 한국적 아트 가득
‘후~’ 숨 불면 산소·수소 만나 공기방울
친환경 기술 형상화… 관객들 직접 체험
3관 ‘같은 시간속의 … ’ 영상 눈물 흘리기도
‘이희건한일교류재단’ 후원 기념비도 눈길
14일 일본 오사카 간사이 세계엑스포 한국관 내부. 파이프 안에 ‘후’하고 숨을 불어넣자 공중에서 공기방울이 떨어졌다. 산소와 수소가 만나 엔진을 돌리고 매연 하나 없이 물만 배출하는 친환경 기술을 형상화한 설치미술이었다. 공중에는 현대자동차의 수소전기차인 ‘넥쏘’ 엔진이 달려 있었다.
‘진심을 잇는 미래’를 주제로 꾸며진 오사카 엑스포 한국관이 관람객들로부터 호평받고 있다. 한국관을 만든 고주원 총감독은 “총 120만명 방문을 계획했는데 현재 일평균 1만1000명이 찾고 있어 최종 관람객수가 예상을 상회할 것 같다”고 전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에 따르면 한국관은 주최국인 일본을 제외하면 미국·이탈리아관과 더불어 최상위 인기관이다. 이날 오전 찾은 한국관 바깥에는 ‘예약하지 않을 경우 대기시간 40분’이라고 쓰여 있었다.

10월13일까지 운영되는 한국관은 총 440억원이 투입돼 지어졌다. 가장 먼저 반기는 건 가로 27m, 세로 10m의 거대한 미디어 파사드다. LG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한 이 미디어 파사드에서는 한국적인 미디어 아트가 상영된다. 관람객 대기 공간에는 288개의 한산모시가 겹겹이 거대한 차양을 드리웠다.
한국관의 특징은 단순 설명이나 과시보다 자연스러운 체험과 감동에 중점을 뒀다는 점이다. 다른 국가관과 비교하면 이런 장점이 부각된다. 일부 국가관은 일차원적 보여주기에 그쳐 기획력이 부재하거나 빼곡한 글로 벽면을 채워 흥미 유발에 실패했다. 자국의 역사와 미래를 모두 보여주겠다는 강박이나 상업성이 노골적인 국가관도 눈에 띄었다. 한국관은 메시지를 즐길거리나 볼거리, 체험으로 승화한 기획력이 돋보인다.
전체 3개관 중 1관은 소리와 빛으로 인류가 하나 되는 세상을 표현했다. 관람객이 입장 전 ‘우리에게 가장 소중한 것’을 자국 언어로 말하면 전시관에서 이를 하나하나 재생하다 음악과 빛의 향연으로 승화한다. 2관에서는 기계 문명으로 황폐화된 도시가 한국의 수소 기술로 생명을 회복하는 모습을 숨 불어넣기 체험으로 전한다.
3관 ‘같은 시간 속의 선율’에서는 영상이 나온다. 오래전 세상을 떠난 할아버지가 남긴 악보를 2040년의 손녀가 우연히 발견해 완성함으로써 우리 시대의 소중한 가치가 미래 세대로 이어진다는 내용이다. 이 영상은 외국 관람객에게 특히 반응이 좋다. 한국관 서포터즈로 자원한 스즈키 나나코씨는 “3관 영상을 본 서양분이 울면서 나오던 게 기억에 남는다. 자기 추억을 떠올렸다고 하더라”라고 전했다. 서포터즈 스미모토 나호씨 역시 “VIP 손님 중에서도 3관을 보고 우는 분이 꽤 많다”고 말했다.

한국관에서는 출구에 놓인 ‘재일동포 기념비’도 눈여겨봐야 한다. 한국은 앞서 1970년 오사카 엑스포에 참가했다. 국가관을 세울 예산조차 빠듯한 시절이었다. 이에 신한은행을 창업한 이희건씨 등 재일한국인들이 앞장섰다. 후원회를 결성해 50만달러를 기부했다. 당시 한국관 건립비 200만달러의 4분의 1에 달하는 액수였다.
개발도상국이던 한국이 55년 만에 주요국으로 오사카에 귀환한 것은 그만큼 의미가 깊다. 강경성 코트라 사장은 “이번에 또 이희건한일교류재단에서 코트라 사무실로 먼저 연락해 3억원을 기증했다”며 “감동스러워서 이를 받는 대신 엑스포장에 기념비를 만들었다”고 전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