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예타 조사’ 넘을 수 있나

입력 : 2025-05-13 15:56:15 수정 : 2025-05-13 15:56:15
부산=오성택 기자 fivestar@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부산·울산·경남 현안이자 숙원사업
결과 6월 예정…국토부도 장담 못 해

부산과 울산, 경남의 현안이자 숙원사업 중 하나인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건설 사업이 시·도민들의 바람대로 추진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현재 진행 중인 ‘예비타당성(예타) 조사’ 결과가 다음 달 나올 예정인데, 주무부서인 국토교통부에서도 결과를 장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13일 부산시에 따르면 부산시와 울산시, 경남도가 지난 12일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를 찾아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예타 통과 및 조기 구축을 한 목소리로 촉구했다.

부산과 울산, 경남의 숙원사업인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건설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가 6월에 나올 예정인 가운데, 부·울·경 3개 시·도가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를 찾아 예타 통과 및 조기 구축을 건의했다. 사진은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노선도다. 부산시 제공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는 2021년 정부가 선정한 5개 ‘비수도권 광역철도 선도사업’ 중 하나로, 부산 노포동에서 양산 웅상을 거쳐 울산 KTX역까지 총연장 48.7km구간을 잇는 광역철도망 구축 사업이다.

 

당초 부·울·경 3개 시·도는 총 3조원을 투입해 복선 철도 건설 계획을 세웠으나, 사전타당성(사타) 조사에서 경제성·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라 단선 철도로 변경하고 사업예산도 2조5000억원으로 축소했다.

 

광역철도는 지역 간 주요 거점을 이동하는 시간과 거리를 효율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핵심 교통수단이지만, 부·울·경은 수도권에 비해 광역철도망이 턱없이 부족해 단일 경제·생활권 형성에 장애가 되고 있다.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가 구축되면 부산도시철도 1호선과 정관선, 양산선, 울산도시철도 1호선 등 단절된 4개의 도시철도와 직접 연계된다. 이에 따라 부·울·경 1시간 생활권을 형성하고, 산업·물류·배후단지 기능을 활성화해 지역 균형발전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부·울·경 3개 시·도는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의 차질 없는 추진을 위해서도 힘을 합치기로 했다. 지난해 6월 박형준 부산시장과 김두겸 울산시장,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와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 조기 구축을 위한 공동건의문을 전달한 바 있다.

 

지난해 12월 예타에 착수한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는 KTX 울산역을 출발해 양산을 거쳐 김해(경전선)까지 연결되는 54.6km 구간으로,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와 연결돼 부·울·경 광역철도망을 완성하게 된다.

 

임경모 부산시 도시혁신균형실장은 “지역소멸 위기 대응과 부·울·경 1시간 생활권 형성을 위한 광역철도망 구축을 위해 부산과 울산, 경남이 한마음으로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오성택 기자 fivesta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임윤아 '심쿵'
  • 임윤아 '심쿵'
  • 김민 ‘매력적인 미소’
  • 아린 '상큼 발랄'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