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증교사 사건 등 주요 재판 일정 모두 대선 후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는 6·3 대통령 선거 공식 선거운동 첫날인 12일 복합 위기 시대에 이념과 진영 갈등을 넘어 국민 중심의 실용 정치로 승부하겠다는 전략을 내걸었다. 그간 이 후보를 짓누르고 있던 ‘사법 리스크’도 사실상 일단락되면서 민주당의 대선 레이스에 가속도가 붙게 됐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광화문 청계광장에서 출정식을 열고 본격적인 선거운동에 돌입했다. 그는 출정식 현장에서 ‘열심히 뛰겠다’는 의미를 담아 구두를 벗고 운동화로 갈아신었다.
이 후보는 “더 이상 과거에 사로잡혀서 이념과 사상, 진영에 얽매여 갈등할 시간도 여유도 없다”면서 “우리 앞에 놓인 지상 과제는 무너진 민생과 민주주의, 평화를 회복하고 파괴된 경제를 되살리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내란 종식과 위기 극복은 그 첫걸음에 불과하다”며 “회복을 넘어서 신문명 시대, 세계 표준으로 거듭날 나라, 먹사니즘의 토대 위에 잘사니즘으로 세계를 주도하는 진짜 대한민국이 우리가 만들어갈 대한민국”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제는 분열을 넘어 통합으로, 대립을 넘어 실용으로 나아갈 시간”이라며 “위기 돌파의 해답은 국민 통합에 있다. 낮은 자세로 통합의 정치를 실천하겠다”고 거듭 약속했다.

출정식을 마친 이 후보는 경기 성남 판교와 화성 동탄에서 반도체 업계 인사들을 만나고, 저녁에는 대전 중구 으느정이거리에서 ‘케이(K) 과학기술’을 테마로 거리 유세에 나선다.
한편, 이날 이 후보의 위증교사 2심 재판 기일이 대선 이후로 변경되면서 이 후보는 이번 대선 기간 법정 출석 부담 없이 선거운동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서울고법 형사3부(이승한 부장판사)는 20일로 예정됐던 이 후보의 위증교사 혐의 2심 1차 공판 일정을 추후 지정으로 변경했다. 추후 지정은 재판 일정을 특정하지 않고 미루는 것으로, 이 후보의 위증교사 재판은 기약 없이 밀리게 됐다.
앞서 이 후보 측은 지난 7일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과 대장동 배임 사건, 위증교사 사건을 각각 담당하고 있는 재판부에 기일 연기 신청서를 제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오는 15일로 예정됐던 공직선거법 파기환송심 재판은 대선 이후인 다음 달 18일로, 13일과 27일로 잡혀있던 대장동 배임 사건 재판도 다음 달 24일로 미뤄졌다.
이로써 이 후보가 피고인으로 넘겨진 5개 재판 가운데 오는 27일로 예정된 ‘경기도 법인카드 유용 의혹’ 사건과 ‘쌍방울 불법 대북 송금 의혹’ 사건 공판준비기일을 제외하고 나머지 재판은 대선 전까지 중단됐다. 공판준비기일은 피고인 출석 의무가 없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