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어정쩡한’ 與 잠룡들… ‘이재명 독주’ 돌파구 고심

입력 : 2025-03-19 19:03:48 수정 : 2025-03-19 22:10:57

인쇄 메일 url 공유 - +

‘李 때리기’만으론 차별화 난망

강경 보수 지지기반 둔 김문수
장관 신분 탓 정치적 행보 제약
한동훈, 당내 비토론 높아지고
유승민은 ‘배신자 프레임’ 여전
반탄파 중심 ‘尹기각’ 기대감도

윤석열 대통령 석방 이후 주춤했던 여권 잠룡들이 다시 보폭을 넓히고 있지만, ‘1강 체제’를 굳히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의 지지율 격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저마다 한계점이 명확한 상황에서 공공의 적인 ‘이재명 때리기’만으로는 뚜렷한 차별화를 이루기 어려운 까닭이다. 여권에 불리한 구도가 계속되면서 윤 대통령 탄핵심판 ‘기각’이나 ‘각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분위기도 감지된다.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홍준표 대구시장, 유승민 전 의원,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오세훈 서울시장(왼쪽부터). 연합뉴스

◆찬탄도 반탄도 尹·강성층 눈치보기

 

여권 주자들의 부진 원인으로는 직무 정지 상태인 윤 대통령의 영향력이 지속된다는 점이 꼽힌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여권 내 지지율 1위를 놓치지 않고 있는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지지 기반이 강경 보수층인 만큼 적극적인 움직임이 어려운 상황이다. 현직 장관으로서 정치적 행보를 할 수도 없고, 최근에는 참석해야 하는 당정협의회나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회의가 없어 국회 방문도 드물다. 정치적 메시지를 낼 기회가 적다는 의미다. 김 장관이 국회를 찾아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한 것은 윤 대통령 석방 이전인 지난달 21일 국민안전점검 당정 회의가 마지막이다.

 

홍준표 대구시장 역시 ‘반탄(탄핵 반대)파’로 메시지를 내는 데 제약이 있다. 그가 조기 대선을 시사하는 발언을 할 때마다 지지자들의 항의가 쏟아지는 것이 대표적이다. 홍 시장은 이날 서울대에서 열린 토크콘서트에서 “(윤 대통령) 탄핵이 되기 어려울 것 같다. 헌재에서 합의가 아마 안 될 것”이라고 했다. 윤 대통령 탄핵 선고를 앞두고 강성 보수층의 눈치를 살피는 모습이다.

 

‘찬탄(탄핵 찬성)파’ 잠룡들은 연일 보수의 심장 격인 대구·경북(TK)을 찾아 민심 잡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여전히 ‘배신자 프레임’을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이다. 유승민 전 의원은 TK 출신임에도 박근혜 전 대통령과의 갈등과 탄핵 국면을 거치며 생긴 부정적인 여론을 극복하지 못했고,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역시 윤 대통령과의 관계에서 당내 비토론이 높아졌다. 최근 “탄핵 찬성파 분류는 오해”라고 밝힌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 대표와의 가상 양자 대결 여론조사에서 김 장관에게 밀리는 형국이다. 확장성을 강점으로 내세우지만, 애매한 포지션 탓에 보수층과 중도층의 지지를 모두 얻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의 모습. 연합뉴스

◆기각? 각하? ‘희망회로’ 돌리는 與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두고 고심을 거듭하는 가운데, 반탄파를 중심으로 헌재가 기각이나 각하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기대가 확산되고 있다. 노무현·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당시와 비교해 평의가 길어지자, 헌법재판관 사이 의견이 크게 엇갈려 선고가 지연되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국민의힘 유상범 의원은 19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헌재의) 결정이 미뤄진다면 (재판관) 6명의 의견 일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을 충분히 나타내는 것”이라며 “현 상황이라면 적어도 기각이나 각하가 될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각하에 무게를 싣는 여당 인사들도 늘어나고 있다. 국민의힘 지도부 한 관계자는 “재판관들 찬반 의견이 5대 3 정도로 갈려서 의결 정족수인 여섯 표를 확보하지 못한 것 같다”며 “헌재가 만장일치에 도달하지 못하는 부담 때문에 차라리 각하로 결정할 수도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다만 출처 불명의 ‘지라시’가 난무하는 상황에서 근거 없는 기대를 갖는 것에 대한 신중론도 나온다. 법조인 출신인 한 국민의힘 의원은 “헌재가 비공개로 완전히 정보를 통제하고 있는 상황에서 아주 작은 단서들이 확대되어 전파되고 있다”며 “헌재 결정에 대한 예측은 현재로선 신뢰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유지혜·백준무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지연 '청순 볼하트'
  • 김지연 '청순 볼하트'
  • 공효진 '봄 여신'
  • 나연 '사랑스러운 꽃받침'
  • 있지 리아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