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발전·직매 등 새 조달방식 검토”
국내 제조기업 10곳 중 4곳이 한국전력공사의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에 따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자가발전, 전력도매시장에서 직접구매 등을 시도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3일 국내 제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최근 ‘전기요금과 전력 시스템에 대한 기업 의견’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서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으로 더 저렴한 전력조달 방식을 시도하겠느냐’는 질문에 11.7%의 기업은 ‘현 시점에서 시도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27.7%는 ‘현시점은 아니나 산업용 전기요금이 더 오른다면 그럴 것’이라고 답했다. 향후 새로운 전력조달 방식을 시도할 의향이 있는 제조기업이 조사 기업의 39.4%인 것이다.

대한상의는 이러한 결과가 산업용 전기요금의 지속적 인상으로 자가발전소를 세우거나 전력도매시장에서 전력시장가격(SMP)으로 전기를 구매하는 편이 더 저렴해졌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2000년부터 지난해 12월까지 전기요금 인상 추이를 보면 주택용 요금이 42% 오르는 동안 산업용 요금은 227% 인상됐다. 과거에는 기업 제조 여건을 고려해 산업용 요금을 낮게 책정했으나 2000년 이후 총 24차례 전기요금 인상 중 19차례를 산업용 위주로 시행하며 2023년 산업용이 주택용 요금을 앞섰다.
현행 산업용 요금에 느끼는 부담 정도를 응답 기업의 78.7%는 ‘부담이 크다’고 답했다. 이 중 46.4%는 ‘경영활동이 위축될 정도로 부담이 매우 크다’고 했다. 그러나 추가 요금 인상 시에 ‘대응책이 없다’고 답한 기업은 74%에 달했다.
우리나라는 과거 민간에서 소매시장에 참여하는 등의 전력시장 구조 개편이 논의됐으나 현재는 추진되지 않고 있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기요금 책정과 전력 시스템 구축을 고민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