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분권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부산지역 핵심과제인 4대 특구와 부산·경남 행정통합 등 정책현안에 대한 심도 있는 토론과 의견 수렴을 위한 첫 회의가 열렸다.
부산시는 지난 14일 오후 시의회 대회의실에서 ‘2025년 부산광역시 지방시대위원회’ 첫 회의를 열고, 주요 정책을 논의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회의에 상정된 안건은 ‘2025년도 부산시 지방시대 시행계획(안)’과 ‘2025년도 부·울·경 초광역권발전 시행계획(안)’ 2건이다.
먼저 2025년도 부산시 지방시대 시행계획(안)은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지방분권균형발전법)에 따라 수립된 지방시대 종합계획의 1년 단위 법정 실행계획으로, 지역의 미래 발전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이 포함됐다.
이 계획(안)은 ‘다시 태어나도 살고 싶은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실현’을 목표로 5대 전략, 22대 핵심과제, 262개 세부과제로 구성돼 있으며, 총 4조6959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된다.
주요 사업은 △부산형 통합 늘봄 프로젝트(당신처럼 애지중지), 어린이 복합문화공간(들락날락) △부산 미래성장 벤처펀드 및 산업전환 녹색펀드 조성 △북항 재개발사업 추진, 부산어린이 병원 건립 △찾아가는 의료버스 추진, 하하센터 조성 등이다.
또 지난해 지정된 기회발전특구·도심융합특구·교육특구·문화특구 등 4대 특구와 주요 핵심 기반 시설 및 산업과 인재의 연계를 강화해 지역의 성장 동력을 극대화한다는 계획이 포함됐다.
두 번째 상정 안건은 부·울·경 지역 공동 발전을 위한 실행계획인 ‘2025년도 부·울·경 초광역권발전 시행계획(안)’이다. 총 7411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산업혁신 기반 조성과 광역 기반 시설 구축, 삶의 질 향상이라는 3대 전략을 중심으로, 12개 핵심과제와 50개 세부과제를 담았다.
부산시 지방시대위원회는 본회의에 앞서 자치분권·혁신성장·교육발전·문화관광 4개 분과위원회를 열고, 분야별 전문가 의견 수렴과 심도 있는 검토를 통해 정책 실효성을 높이는 계기를 마련했다. 분과위원회는 심의안건 2건 외에 지방시대 핵심과제인 4대 특구와 부산·경남 행정통합 등 주요 정책현안의 추진현황을 청취하고, 토론과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쳤다.
박형준 시장은 “지방시대 실현을 위한 정책과제를 공유하고 논의하는 자리를 지속적으로 마련할 것”이라며 “이번 회의에서 심의·의결된 안건을 내실 있게 추진해 부산이 남부권 혁신거점 도시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