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설계보다 최대 20% 더 주문했는데도 ‘철근 누락’ 발생한 LH아파트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4-10-10 12:53:29 수정 : 2024-10-10 13:10:40
이강진 기자 ji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감독 정상화 시급”

지하주차장 ‘철근 누락’이 확인된 한국토지주택공사(LH) 아파트 단지에서 당초 설계상 필요한 것보다 최대 20% 많은 철근을 주문해 시공한 사례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은혜 의원이 LH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철근 누락 LH 23개 단지 중 21개 단지에서 설계량보다 철근을 더 많이 주문했다. 이에 따른 철근 주문 금액은 설계 때 산출한 것보다 최소 4억원에서 최대 85억원까지 늘었다.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철근이 누락된 전체 154개 기둥에 대한 보강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뉴시스

평택 소사벌 A-7블록은 철근을 설계량(1809t)보다 19.5%(353t) 많은 2165t 주문해 시공했다. 철근 자재비는 설계 대비 12억원 늘었다.

 

오산 세교2 A-6블록은 철근 주문·시공량(4159t)이 설계량(3945t)보다 5.4%(214t) 많았다. 철근 주문 금액은 43억원으로, 설계 때 예상보다 24억원 증가했다.

 

화성 비봉 A-3블록의 경우 철근 주문량(1만1240t)이 설계량(1만793t)보다 4.1%(447t) 많았고, 비용은 14억원 늘었다.

 

철근 절단·가공 과정에서 못 쓰는 부분이 생기고 시공 중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시공사는 철근을 설계량보다 추가로 주문해 쓸 수 있다. LH는 시공 손실량을 3% 안팎으로 본다.

 

하지만 300∼400t씩 철근을 더 주문해 비용 부담이 늘어난 현장에서 누락까지 나타난 사례가 있는 만큼 LH의 관리·감독 기능이 부실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고양 장항 A-4블록은 설계량보다 철근 시공량이 247t 적었으나 철근 주문액은 158억원으로 설계 당시 73억원보다 2배가 넘었다. 이외에도 설계 당시 예상액보다 실제 철근 주문액이 2배 이상 늘어난 단지는 양주 회천 A-15블록 등 4개 단지였다.

사진=뉴스1

누락된 철근인 전단보강근이 전체 물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미미한 편이다. 길이가 하나에 45㎝, 무게는 0.5㎏ 정도이기 때문이다. 전단보강근은 슬래브(콘크리트 천장)에 들어가는 주철근을 촘촘하게 감는 갈고리 형태다. 보 없이 기둥이 바로 슬래브를 지지하는 무량판 구조에서 하중을 견디도록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LH는 철근 누락 아파트의 기둥 하나당 전단보강근 누락 물량이 평균 96㎏이라고 설명했다.

 

전반적인 공사 과정에서 적정량보다 과도하게 철근을 주문한 것을 잡아내지 못하면 LH에 추가 비용 부담이 돌아올 수 있다. 철근은 시공사가 직접 주문·결제하는 자재다. LH는 “현장 시공 손실(Loss) 발생량 증가 등 여러 원인에 대한 시공사의 자체적 판단에 따라 주문 수량이 늘어난 것으로 판단된다”며 “해당 단지 시공사를 통한 추가 자료 확인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김 의원은 “철근 누락 아파트에 당초 설계보다 더 많은 철근이 반입됐음에도 대체 그 많은 철근이 어디로 간 것인지 발주청인 LH는 감도 잡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렇게 허술한 감독이라면 언제 제2, 제3의 순살 아파트가 나타날지 모른다”며 “LH의 감리 감독 정상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오피니언

포토

문가영 뚜렷 이목구비에 깜짝…시스루룩 완벽 소화
  • 문가영 뚜렷 이목구비에 깜짝…시스루룩 완벽 소화
  • 이안 '러블리 카리스마'
  • 하츠투하츠 에이나 '깜찍한 매력'
  • 정소민 완벽 이목구비…단발 찰떡 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