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전 쓴 명함 여백에 작성

민영환(1861∼1905)이 일제에 항거해 자결하면서 남긴 유서가 국가등록문화재가 된다. 문화재청은 ‘민영환 유서(명함·사진)’와 ‘여수 거문도 근대역사문화공간’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할 계획이라고 11일 예고했다.
민영환은 일제가 대한제국 외교권을 박탈한 을사늑약이 체결된 직후인 1905년 11월30일 자결하면서 국민과 서울에 머무르던 외국 사절, 황제에게 올리는 유서를 작성했다고 알려져 있다. 유서가 적힌 명함은 그가 생전 쓴 것으로 보이며 가로 6㎝, 세로 9.2㎝ 크기다.
명함의 앞·뒷면 여백에 적힌 유서에는 2000만 동포를 향해 ‘죽어도 죽지 않는다’고 외치며 자유와 독립을 회복할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민영환은 “동포 형제들은 천만 배나 마음과 기운을 더해 지기(의지와 기개)를 굳게 하고 학문에 힘쓰며, 한마음으로 서로 돕고 힘을 모아 우리의 자유 독립을 회복하라”고 당부했다.
함께 등록 예고된 여수 거문도 근대역사문화공간은 1885년 영국군이 거문도를 불법 점령했던 사건 이후 시기별 항만시설, 군사시설, 수산업 관련 시설 흔적이 남아 있으며, 어촌 마을의 근대 생활사도 살펴볼 수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