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부진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소상공인 10명 중 6명이 지난해에 비해 올해 대출 잔액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대출금 상환으로 힘들다는 소상공인은 10명 가운데 9명에 달했다.
27일 소상공인연합회는 8∼14일 소상공인 1345명을 상대로 조사한 ‘소상공인 금융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7.6%가 “현재 대출금 상환으로 힘들다”고 답했다.

장기화된 경기 악화로 부채가 늘어난 데다 기준금리가 급격하게 인상돼 금융비용이 대폭 증가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의 59.7%는 작년대비 대출 잔액이 늘었다고 답했다. 비용 부담을 낮출 수 있도록 ‘소상공인 금리우대를 통한 이자비용 절감’을 가장 필요한 금융지원으로 꼽았다.
연합회는 “이렇게 금융비용 부담이 큰 상황에서 이를 감당할 만큼 매출과 영업이익이 나오지 않고 있는 것도 부담”이라고 지적했다.
올해 상반기 월평균 매출액을 묻는 질문에 ‘500만원 미만’이라고 응답한 소상공인은 32.6%로 가장 많았다. ‘500만~1000만원’이 19.4%였다. 결과적으로 연매출이 1억2000만원 미만인 소상공인이 전체의 52%에 달했다.
연합회는 “소상공인들은 장기화된 복합위기 속에 매출이 이렇게 낮은 상황에서 전기료·가스비 등 공공요금 인상,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지출 증가 등으로 경영 실적이 악화했다”며 “이런 상황을 버티고 사업을 유지하기 위한 선택지로 대출이 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월평균 매출이 낮을수록 이자가 낮은 정부정책자금이나 1·2금융권보다, 고이율의 3금융권을 이용하는 비중이 높았다.
저소득 소상공인에 대한 정책 필요성이 제기되는데, 악화된 경영실적을 대변하듯 대출 관련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부담 증가’가 45.9%로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대출한도 제한에 다른 추가대출 불가’( 31.3%), ‘복잡한 대출 절차 및 구비서류’(8.8%), ‘만기도래’(7.1%), ‘연체로 인한 상환 독촉’(3.3%) 등 순이었다.
가장 필요한 금융정책으로는 ‘소상공인 금리우대를 통한 이자절감’(51.7%)이 1위로 꼽혔고, ‘대출원금에 대한 장기 분할납부(10~20년 이상) 시행’(45.9%)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차남수 소상공인연합회 정책홍보본부장은 “지난 3월말 기준 소상공인 대출총액은 1034조원에 달하는 데 반해, 정부의 만기연장과 상환유예 지원을 받고 있는 여신은 85조3000억원으로 전체 대출의 8.25%에 불과하다”며 “이번 실태조사 결과 10%가 넘는 소상공인이 대출 만기도래 및 상환 독촉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이어 “소상공인의 금융비용이 급증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려면, 저금리 대출 확대 및 만기연장·상환유예 등 금융지원대상을 전체 자영업자 대출 등으로 폭넓게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