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포스코 포항제철소, 스테인리스 조강 생산량 5000만t 달성

입력 : 2023-09-19 01:00:00 수정 : 2023-09-18 18:10:40

인쇄 메일 url 공유 - +

1989년 3월 스테인리스 1 제강공장 준공 후 34년 6개월 만에 스테인리스 조강생산량 5천만t 달성
냉연 코일 길이로 환산할 경우 526만km, 지구 둘레를 131여 바퀴 감을 수 있는 수준

포스코 포항제철소가 18일 스테인리스 조강 생산량 누적 5천만t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포항제철소는 지난 1989년 3월 스테인리스 반제품인 슬라브를 첫 생산해냈다. 같은 해 9월 제품을 초도 출하해 국내 유일 스테인리스 열연 코일 공급처로서 34년간 포항제철소는 한국 스테인리스 시장을 주도해왔다.

포스코 임직원 및 협력사 관계자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지난해 9월 태풍 힌남노 내습에 따른 냉천 범람으로 인한 피해를 극복하고 정상화에 성공한 데 이어 18일 포항제철소는 스테인리스 누적 조강생산량 5천만t을 달성하는 쾌거를 이뤄냈다.

 

이는 냉연 코일 길이로 환산할 경우 526만km로, 지구 둘레를 131여 바퀴 감을 수 있는 수준이다.

 

누적 5천만t을 생산하기까지 과정이 순탄하기만 했던 것은 아니다.

 

포항제철소는 스테인리스 누적 조강생산량 1천만t을 달성하는 데에만 14년의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끊임없는 기술개발과 설비 합리화를 통해 포항제철소는 생산성을 지속해 높여 나갔다.

 

또한 국내시장 확보에만 안주하지 않고 글로벌 시장 공략을 통해 판매량도 지속적으로 늘렸다.

 

4천만t에서 5천만t까지 누적 조강생산량 1천만t을 늘려나가는 데 걸린 시간은 단 5년이었다.

5000만t 기념을 위해 기념떡을 컷팅하고 있다.

포항제철소는 현재 3개의 스테인리스 제강공장을 가동해 연산 210만t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2006년 포스코는 중국 장가항에도 일관제철소를 준공하면서 생산 능력을 대폭 증대했다. 2034년에는 포항, 장가항을 모두 합쳐 누계 조강이 1억t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코는 중국의 저가재 물량 공세에 맞서 포스코만의 우수한 품질과 끊임없는 특화 제품 개발로 세계 최고의 스테인리스를 공급하고 있다. 포항제철소에서 생산하는 304L강은 전 세계 LNG 운반선 화물창의 극저온용 멤브레인 소재로 독점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건축용 외장재, 자동차 배기계, 화학 탱크, 가전제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스테인리스 제강부 서브센터 앞 정원에 기념 식수 행사를 하고있다. 포스코 포항제철소 제공

스테인리스 조강 생산량 5천만t 달성이라는 쾌거를 축하하기 위해 포스코 이시우 사장은 "모든 직원분들의 노고와 헌신, 그리고 도전적인 마인드와 끈기, 관계사의 지원으로 조강 5천만t이라는 큰 업적을 달성했다"며 “저탄소 친환경 조업기술 개발, 초격차 특화 제품 개발을 통해 5천만t을 넘어 1억t, 10억t으로 나아가자" 라고 축하 메시지를 전했다.

 

포항제철소 지현룡 스테인리스 부소장은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기술력과 노사 화합을 바탕으로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확보해 '넥스트 1억t' 미래를 꿈꾸는 100년 기업으로 도약하고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포항=이영균 기자 lyg0203@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트리플에스 김유연 '심쿵'
  • 트리플에스 김유연 '심쿵'
  • 트리플에스 윤서연 '청순 매력'
  • 미야오 나린 '상큼 발랄'
  • 미야오 안나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