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 마스크 원료인 폴리프로필렌(PP) 성분의 나노플라스틱이 폐 손상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확인했다. 적절한 마스크 폐기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안전성평가연구소(KIT)에 따르면 KIT 인체유해인자 흡입독성연구단과 전북대 김범석 교수 연구팀은 PP 성분 나노플라스틱을 실험동물 기도에 서서히 떨어뜨려 폐로 물질이 전달되도록 했다. 관찰 결과 폐에서는 염증성 손상이 나타났다.

폐에서는 백혈구의 일종인 호중구 염증 반응도 발생했다. 호중구는 세균, 박테리아와 같은 외부 인자들이 침입했을 때 이를 막아내는 첫 번째 방어선 역할을 하는 세포로, 이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가하고 활성화되면 염증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연구진은 PP 나노플라스틱에 노출된 인간 폐암 상피세포주(A549)에서는 미토콘드리아 손상을 확인했다.
나노플라스틱은 플라스틱이 물리적 힘에 의해 나노미터(10억분의 1) 크기의 미세한 입자로 변한 것으로, 대기 중에 떠다니다 흡입을 통해 사람의 폐에 축적되거나 폐포까지 도달한다. 코로나19 이후 PP가 주원료로 사용된 마스크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PP 나노플라스틱에 따른 환경오염과 인체 노출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KIT 연구진은 “PP가 주원료인 일회용 마스크가 나노플라스틱이 되었을 때 인체 건강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사용 후 폐기 및 관리 방안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