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 높이’서 ‘기준 높이’로 완화
“녹지 등 공공성 늘려 도심 재창조”
서울시가 그동안 일률적으로 제한해 온 사대문 안 도심 건물의 높이를 유연하게 적용하고 녹지 등 공공성을 확충하는 유인책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7일 서울시에 따르면 2020년 6월부터 전문가, 시·구 공무원, 시민참여단과 함께 새로운 서울도심 기본계획을 마련해 왔다. 서울도심 기본계획은 도심 정책의 기본방향을 제시하는 청사진으로 관련 조례에 따라 5년마다 수립하고 있다.
시는 지난 5년간 서울 도심의 성장이 정체돼 경쟁력이 약화됐다고 보고 ‘활력있는 도심, 매력넘치는 도심’이라는 새로운 비전을 설정했다. 이에 대한 5대 전략과제로 △미래성장도심 △직주복합도심 △녹지생태도심 △역사문화도심 △고품격도심을 제시했다.
계획에 따르면 도심 내 높이는 최고높이를 중심으로 한 기존 방식에서 기준높이를 중심으로 한 방식으로 완화될 전망이다. 높이는 녹지 확충 등 공공성을 높이기 위한 유인책으로 활용하고 지구단위계획, 정비계획에서 구체화해 확정할 계획이다. 도심 내 역사문화자원 목록은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에서 일원화해 관리한다.
시는 계획 확정에 앞서 8일 오전 10시 시청 후생동 강당에서 공청회를 열어 시민 의견을 묻는다. 공청회에서는 강병근 서울시 총괄건축가를 좌장으로 권영상 서울대 교수, 남기범 서울시립대 교수, 안창모 경기대 교수 등 전문가와 관련 공무원, 시민이 참여한 토론이 진행된다.
시는 공청회 이후 관계기관 협의 및 도시계획위원회 자문을 거쳐 오는 12월 기본계획을 확정해 공고할 계획이다.
여장권 시 균형발전본부장은 “역사보존과 개발이 공존하는 새로운 기본계획을 통해 서울도심 내 역사문화적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개발·정비를 통한 산업기간 강화, 풍부한 녹지 조성 등으로 도심을 재창조해 서울의 대표공간인 서울도심의 경쟁력을 견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