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반도체 정원 확대보다 교육개선 시급”

입력 : 2022-06-15 20:00:00 수정 : 2022-06-15 22:08:26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교육부 토론회서 제언 쏟아져

석·박사 인력 10년간 5565명 부족
업계 “졸업생 뽑아도 2년 재교육
대학 교육·실제 업무 간극 좁혀야”
대학도 “연구비 삭감에 質 저하”

정부, 7월 ‘인력 양성 방안’ 발표
정원 확대·교원 확보 대책 담길 듯
황철성 서울대 재료공학부 석좌교수가 1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반도체 산업 생태계 학습을 위한 교육부 포럼에서 '반도체 산업의 동향과 반도체 인재 수요'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뉴스1

정부가 첨단산업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 반도체학과 정원 확대를 추진하는 가운데 업계와 대학에서는 “정원 확대보다 교육 질 개선이 우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정부는 다음 달에 인력 양성 방안을 내놓는다는 방침이다.

 

15일 교육부는 세종청사에서 ‘반도체산업 생태계와 인재 수요’ 공개 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에는 업계와 학계 전문가, 학생 등이 참석해 정부의 첨단산업 인재 양성 방안에 대한 의견을 쏟아냈다.

 

참석자들은 양적 확대보다 교육 체질 개선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김형환 SK하이닉스 부사장은 “현재 대학 교육은 실제 반도체 개발·생산과 거리가 있다”며 “공대 졸업생을 채용하면 2년 이상의 현장 경험과 재교육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SK하이닉스 채용담당 직원도 “입사 후 1∼2년 교육하고 일을 시작하는데 이탈자가 생기는 등 애로사항이 많다”며 “교육과 업무의 간극을 좁힌다면 인력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등은 일부 대학에 계약학과(커리큘럼에 맞춤식 직업교육체제를 적용해 인력을 양성하는 학과)를 운영 중이지만, 김 부사장은 교수 확보 문제 등의 고충이 있다고 토로했다. 계약학과는 몇 년 단위로 추진하는 사업이라 계약이 끝난 후 교수 거취 문제가 걸림돌이 된다는 것이다.

 

대학에서도 교육 환경이 열악하다는 호소가 나왔다. 한동석 경북대 교수(IT대학장)는 “고등학생도 한 반에 30명 이하인데 대학은 70명 이상이 듣는 수업이 많다. 학생과 교수가 토론할 기회조차 없고, 노후화해 기업이 안 쓰는 장비를 기증받아 사용한다”며 “거점국립대에 장비를 투자한 뒤 주변 대학도 함께 활용하도록 하는 식으로 학생들이 깊이 있게 공부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황철성 서울대 재료공학부 석좌교수(중앙 가운데)가 1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반도체 산업 생태계 학습을 위한 교육부 포럼에서 '반도체 산업의 동향과 반도체 인재 수요'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뉴스1

황철성 서울대 재료공학부 석좌교수는 “전국 반도체 연구 교수는 400∼500명에 불과하다. 정부의 연구비 삭감 등으로 국내 대학에서 반도체 연구를 하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황 교수에 따르면 반도체 고급인력은 2032년까지 5565명 부족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는 “교수 연구 활동을 지원해 석·박사급 고급인력을 키워야 한다”고 제언했다.

 

업계는 인력난을 호소하지만, 대학에선 취업난을 겪는다는 이야기도 나왔다. 한동석 교수는 “최근 반도체가 활황이라 많은 학생이 반도체에 관심을 갖지만, 다 취업을 하지는 못한다”며 “수도권 계약학과가 늘어나면 지방 비계약학과 학생은 취업이 더 어려워진다. 지역 인재를 키우고 활용하는 방안을 고민할 때”라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이런 의견 등을 반영해 다음 달 중 반도체 인력 양성 방안을 내놓는다는 계획이다. 교육부는 이날 기획재정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고용노동부 등 관계부처와 업계, 연구기관이 참여한 ‘반도체 등 첨단산업 인재 양성 특별팀’ 첫 회의를 개최했다. 특별팀은 우선 특성화고, 전문대, 학부, 석·박사 등 단계별로 필요한 인력 수요 파악에 나선다. 이 밖에 반도체 계약학과 ‘정원 외 선발’을 입학 정원의 20% 한도에서 50%로 늘리는 방안, 대학생이 반도체 관련 학과를 복수전공 등으로 선택하게 하는 등 학사제도를 유연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정원 확대 시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히는 교원 확보와 관련해서는 현장 전문가를 교수로 초빙할 수 있도록 산업체 전문인력이 학교에서 교원으로 일한 후 다시 산업계로 자유롭게 복귀하는 방안을 살핀다. 특별팀 팀장을 맡은 장상윤 교육부 차관은 “첨단산업 인재 양성을 교육부의 핵심 업무로 추진할 것”이라며 “전문가들의 제안을 적극 검토해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세종=김유나 기자 yo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수지 '하트 여신'
  • 수지 '하트 여신'
  • 탕웨이 '순백의 여신'
  • 트리플에스 코토네 '예쁨 폭발'
  • 김나경 '비비와 다른 분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