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유니스트, 이산화탄소 없는 ‘그린 암모니아’ 만드는 촉매 기술 개발

입력 : 2022-04-15 01:00:00 수정 : 2022-04-14 13:33:58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왼쪽부터 유니스트 에너지화학공학과 김효은 연구원과 이재성 교수, 나은철 연구원. 유니스트 제공

폐수와 햇빛으로 이산화탄소 배출 없이 수소 저장체로 주목받는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유니스트(UNIST·울산과학기술원)는 이재성 교수팀(에너지화학공학)이 햇빛을 이용해 폐수 속 질산염에서 암모니아를 얻는 광촉매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중국 사천 대학 허민 장(Hemin Zhang)교수, 한양대 장윤정 교수와의 협력을 통해 이뤄졌다.

 

이 기술은 햇빛을 받은 광촉매가 만든 전자(광전자)로 화학반응을 일으켜 질산염을 암모니아로 바꾸는 원리다.

 

비료 등의 원료로 알려진 암모니아는 최근 수소 운반저장체로 급부상하고 있다. 수소를 암모니아로 바꾸면 수소를 그냥 액화하는 것보다 약 1.7배 많은 수소를 저장할 수 있다. 또 기존 암모니아 액화 설비와 운송수단을 그대로 쓸 수 있어 더 경제적이다.

 

그러나 암모니아 생산 중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는 전 세계 배출량의 약 1.8%를 차지할만큼 많다. 대안으로 질소를 물에 녹여 전기분해 방법으로 ‘그린 암모니아’를 생산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지만, 질소가 물에 잘 녹지 않는데다 여전히 화석연료로 생산한 전기를 써야 하는 문제가 남아있다.

 

연구팀은 물에 잘 녹는 질산염의 특성을 활용한 해결방안을 내놨다. 전기 대신 자체 개발한 광촉매를 사용했다.

 

실험결과 이 광촉매를 활용해 아주 낮은 전암에서도 95.6%라는 높은 선택도로 질산염을 환원시켜 암모니아를 만들 수 있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높은 반응 선택도는 광전자가 질산염 환원 반응에만 효율적으로 쓰였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실리콘 나노와이어가 고르게 정렬된 광촉매의 구조 특성과 나노와이어 표면에 잘 부착된 미량의 금 입자 성분 등 덕분에 높은 효율을 얻었다”고 전했다.

 

이재성 교수는 “암모니아 생산과정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도 잡고, 폐수 속 질산염도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라며 “광촉매 효율성과 안전성을 보완한다면 지상에서 가장 풍부한 재생에너지인 태양광을 직접 활용하는 이상적인 그린 기술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독일의 와일리(Wiley) 사에서 발행하는 화학계 최고의 학술지 중 하나인 앙게반테케미 국제판(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에 4월 5일자로 온라인에 공개됐다. 연구 수행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기후변화대응 사업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울산=이보람 기자 bora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엄현경 '여전한 미모'
  • 엄현경 '여전한 미모'
  • 천우희 '미소 천사'
  • 트와이스 지효 '상큼 하트'
  • 한가인 '사랑스러운 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