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가 급등과 환율 변동 폭 확대가 대구지역 산업계를 시계(視界) 제로 상태로 몰아넣고 있다. 물류비, 원자재 가격 상승까지 겹친 ‘4중고’에 지역 기업 대부분은 생산 원가, 납품 비용이 증가했으나 비용 증가분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지 상황에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대구상공회의소가 지역 기업 336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 기업 10곳 중 8곳(82.7%)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등 지정학적 리스크로 인해 지난해와 비교해 물류비가 증가했다. 이같은 여파로 기업의 52.9%가 ‘영업이익 감소’, 가격경쟁력 저하(33.7%), 납기지연(6.7%), 계약 취소(1.1%) 등 악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자재의 경우 지역 기업 10곳 중 9곳(92.3%)이 지난해보다 가격이 상승했다고 답했다. 이 가운데 가격 상승분을 제품 가격에 모두 반영한 기업은 고작 6.8%에 불과했다. 특히, 기업들은 가격경쟁력 저하(36%)와 거래처와의 지속 관계 우려(28.2%)로 인해 제품 가격에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채산성 악화를 감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가 상승에는 지역 기업 10곳 중 9곳(88.2%), 환율변동은 지역 기업 10곳 중 6곳(64.5%)이 각각 영향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앞서 대구상의가 지난해 10월 물류비, 원자재·유가, 환율 상승에 따른 기업 영향을 조사한 결과에서도 이미 지역 기업들이 악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파악돼 6개월여 만에 더욱 가중된 상황이다. 대구지역 기업은 중간재를 생산해 대기업에 납품하고 있지만 납품단가 반영이 어려운 실정인 탓에 납품단가 연동을 위해 대기업의 자발적 상생 의지가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다.
이재경 대구상의 상근부회장은 “원자재의 경우 가격이 장기적으로 증가할 경우 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경제 전반에 악영향 미치게 된다”면서 “경쟁력이 낮은 기업들이 채산성 악화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어 정부는 세제 절감 혜택, 각종 부담 완화 등 기업 손실 최소화를 위한 중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향후 산업계 곳곳에서 위험 신호가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 했다. 류종우 영남대 사회교육원 교수(경영학)는 “코로나19에 전쟁 같은 의외의 변수가 더해지면서 기업들로서는 예상보다 더 치명적인 상황을 맞고 있다”고 말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