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2시간 이상 근무업체 0.484%
40시간 미만 기업보다 4.8배 높아
근로자 수는 적을수록 산재 빈도↑

주당 근로시간이 ‘52시간 이상’인 사업체의 산업재해율이 ‘40시간 미만’의 약 5배에 달하는 등 장시간 근로 환경에서 산업재해가 자주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1일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 특성별 산업재해 현황과 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2007~2017년 근로자의 주당 근무시간이 52시간 이상인 사업체의 평균 산업재해율은 0.484%였다. 산업재해율은 해당 연도에 산재로 인정받았다고 응답한 근로자 수를 전체 근로자 수로 나눈 뒤 100을 곱해 나온 값이다. 이는 근로시간이 길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예컨대 40시간 미만인 사업체의 평균 산업재해율은 0.101%였지만, 40~46시간은 0.165%, 46~52시간은 0.246%로 높아졌다. 근로시간이 52시간 이상인 사업체와 40시간 미만인 사업체의 평균 산업재해율을 단순 비교하면 무려 4.8배에 이른다. 보고서를 작성한 김정우 전문위원은 “노동시간이 길수록 산업재해 발생 위험이 산술적으로 커질 뿐 아니라 근로자의 체력·주의력이 저하돼 산재 발생을 증가시킨다”고 설명했다.
산업재해 발생은 사업체 규모와도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상시 근로자 수 500인 이상 규모 사업체의 평균 산업재해율은 0.128%로 전체 평균(0.273%)을 한참 밑돌았다. 반면 300~499인 사업체는 0.130%, 100~299인은 0.168%, 50~99인은 0.236%, 30~49인은 0.355%로 상시 근로자 수가 적을수록 산업재해 발생 빈도가 커졌다.
산업별로는 금속·자동차·운송장비 제조업(0.442%)이 가장 높고 화학공업(0.382%)이 뒤를 이었다. 직종별로는 생산직(0.382%), 단순직·서비스직(각 0.380%), 관리직(0.184%) 등의 순이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