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6월 MSCI(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의 시장 재분류 작업을 앞두고 한국이 MSCI 선진시장 편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4일 ‘MSCI 선진시장 편입 시 효과와 시사점’ 보고서에서 MSCI 신흥시장에 속한 한국 증시가 선진시장으로 승격할 경우 17조8000억원∼61조1000억원의 외국인 자금이 유입돼 주가가 최대 27.5% 상승하고, 주식시장 안정성은 14.2%까지 높아질 수 있다고 밝혔다.
MSCI는 전 세계 증시를 선진시장과 신흥시장, 프런티어 시장으로 분류하고, 기관투자자와 펀드매니저들은 이 기준에 따라 투입 자금 규모를 결정한다. 현재 선진시장은 미국·일본 등 23개국, 신흥시장은 한국·중국 등 27개국, 프런티어 시장은 베트남 등 26개국으로 구성됐다.
한경연은 한국이 1996년 선진국 클럽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하고, 2009년 FTSE 지수 선진시장에 편입됐는데도, MSCI지수는 여전히 한국을 신흥시장으로 분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MSCI 지수가 국제적 투자 벤치마킹 지수로서 영향력이 큰 것을 고려하면,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이 증폭될 때 신흥시장은 선진시장보다 투자자금의 급격한 유출입을 겪을 수 있다고 한경연은 설명했다.
금융위기인 2008∼2010년 MSCI 선진시장과 신흥시장 지수 변동성을 비교한 결과선진시장 변동성이 신흥시장보다 6.4%∼16.5% 낮았던 것이 대표적 사례다.
또 한국거래소 발표에 따르면 ‘주가 순자산 비율(PBR)’은 MSCI 선진시장이 신흥시장의 1.6배 수준이었다. 선진시장에 속해야 신흥시장보다 1.6배 더 높은 가치를 인정받을수 있다는 의미다.
MSCI 신흥시장 내 중국 증시 비중이 계속 느는 것도 한국의 선진시장 승격이 시급한 이유라고 한경연은 강조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MSCI 선진시장 승격이 이뤄지면 신흥시장 디스카운트 해소와 주가 상승, 변동성 축소라는 세 마리 토끼를 한 번에 잡을 수 있는 만큼 민관이 합심해 선진시장 승격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
남혜정 기자 hjnam@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