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인권위 “‘분홍색은 여아, 파란색은 남아’ 영유아 제품 개선해야”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1-05-04 12:01:00 수정 : 2021-05-04 09:11:15

인쇄 메일 url 공유 - +

"영유아 상품 성별 구분…성역할 고정관념 심어"

국가인권위원회는 영유아 제품 관련 업체 대상으로 ‘분홍색은 여아용, 파란색은 남아용’처럼 성별에 따라 제품 색깔을 구분하는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인권위는 “영유아 제품을 생산·판매하면서 그 기능과 무관하게 성별에 따라 색깔을 입히거나 거기에 성별을 표기하는 행위는 성역할 고정관념을 학습하게 하는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며 관련 업체 대표 등 피진정인들에게 이같은 의견을 냈다고 4일 밝혔다. 

 

시민단체 ‘정치하는 엄마들’은 영유아 제품 생산업체가 기능과 무관하게 색깔로 성별을 구분하고 소꿉놀이를 여아놀이로 취급하는 등 아이들에게 성역할 고정관념을 강화한다며 진정을 제기했다.

 

업체 측은 이에 “판매・유통상 편의를 위해 상품에 성별을 표기했다”며 “이는 색깔에 따라 성별을 구분하는 사회・문화적 관행에 익숙한 소비자의 선호를 반영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영유아 제품의 성별표기와 성차별적 문구를 삭제 조치하거나 향후 개선할 예정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인권위는 이 사안에 대해 “영유아기는 성역할 고정관념 등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기 쉬운 시기”라며 “이 시기에 제공되는 놀이, 경험 등의 환경은 아이들이 그것이 자신에게 적합하다는 인식을 자연스럽게 갖게 한다. 그 결과로 행동이나 태도 그리고 놀이와 직업을 선택할 때 스스로가 원하는 것이나 자신의 재능 또는 가능성이 아닌, 사회에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는 성에 대한 정형화된 관점에 따른 선택을 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인권위는 “영유아 상품의 성별 구분은 단순한 ‘구분’에 머무르지 않고 성역할 고정관념을 심어주는 효과를 발생시킨다”며 “우리 사회가 성별에 따라 색깔을 구분하는 방식을 탈피해 성별을 구분하지 않고 사람 자체로 접근하는 ‘성중립적인’ 방향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다만 인권위는 이번 진정사건 자체에 대해서는 각하 결정했다. 소비자가 문제 상품을 구매하는 데 제한이 있거나 하지 않은 점을 고려했다는 설명이다.  

 

김승환 기자 hwa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