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반세기’ 대덕특구 재편작업 시동

입력 : 2021-05-04 02:00:00 수정 : 2021-05-03 22:58:49

인쇄 메일 url 공유 - +

“규제서 자유로운 기술창업기지로”
재창조 종합계획 정부사업 확정

출범 50주년을 앞둔 대덕연구개발특구(대덕특구)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효율적으로 재편하기 위한 작업에 시동이 걸렸다.

대전시와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지난달 30일 최기영 과기정보통신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17회 과학기술 관계장관 회의에서 ‘대덕특구 재창조 종합계획(안)’을 정부 추진사업으로 확정했다고 3일 밝혔다.

대덕특구는 1973년 조성된 국내 대표적인 국책 및 민간기업 연구시설 집적 지구다. 그동안 우수한 연구성과와 기술사업화 등을 통해 국가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수행해왔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디지털 전환을 선도해 가기에는 혁신 생태계와 공간적인 측면에서 한계가 많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에 과기부는 지난해부터 대전시, 대학, 연구기관, 기업 등과 함께 대덕특구를 재창조하기 위한 종합계획을 마련해 왔다.

종합계획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미래를 개척하는 세계적 혁신클러스터 조성’을 비전으로, 연구·인재, 사업화·창업, 기업·산업, 도시·인프라의 4대 전략분야 8개 실행계획이 추진된다. 정부와 대전시는 대덕특구를 세계적 융합연구·창의인재의 허브이자, 규제에서 자유로운 기술창업 전진기지로 탈바꿈시킨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인 실행계획으로 대덕특구를 데이터기반 융복합 연구개발(R&D) 혁신 캠퍼스로 전환하고, 창의·도전형 미래 신산업 인재 육성·유치 및 정주환경 조성에 나선다. 또 정부출연 연구기관과 대학이 참여하는 공공창업 생태계를 강화하고, 실증 테스트베드·리빙랩 등을 통한 데이터·현장기반 기술사업화를 촉진키로 했다.

대전시는 효율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 지역사회 중심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로 대덕특구 재창조 거버넌스(가칭 대덕특구 글로벌혁신추진위원회)를 구축하고, 실행력 확보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대덕특구가 지난 50년간 국가 중심으로 추진됐지만, 향후 50년은 지역 혁신 역량을 결집하고 범정부 차원의 협업을 이끌어내 대전시 주도로 국가성장의 선도 모델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대전=임정재 기자 jjim61@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