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한·미정상회담 앞두고 고민 깊어지는 文

입력 : 2021-05-02 23:00:00 수정 : 2021-05-02 23:29:20

인쇄 메일 url 공유 - +

美 ‘실용’ 방점… 북·미 대화 재개 여지
北 대남·대미 도발 관리 회담 변수로
경찰청장 “대북 전단살포 철저 수사”
문재인 대통령. 연합뉴스

청와대는 ‘외교’와 ‘실용’에 중점을 둔 바이든 미국 행정부 대북정책에 대해 사전에 상당한 논의를 가진 결과물이라고 설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5월 말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남북, 북·미 대화의 물꼬를 트려는 구상에 첫발을 내디딘 셈이다. 그때까지 북한의 도발을 어떤 식으로 관리하느냐가 핵심 변수로 떠올랐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의 담화 등 북한의 대남, 대미 공세가 강화되면서 자칫 문 대통령의 대미, 대북 구상이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우려돼서다.

 

청와대 관계자는 2일 새 대북정책에 대해 “미국과 사전에 긴밀하게 공유를 했고, 결과도 상세하게 설명 들었다”고 말했다. 바이든 행정부는 북한 비핵화를 위해 실용적인 접근을 하겠다는 의사를 피력했는데, 문 대통령이 강조한 ‘단계적 비핵화’와 맥이 닿아있다는 평가다. 바이든 행정부 내에서 2018년 싱가포르 선언을 무효화하지 않으려는 흐름이 포착된 것도 우호적인 신호다.

 

문 대통령은 5월 말 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재가동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바이든 대통령을 설득해 남·북, 북·미 대화의 물꼬를 트겠다는 구상이다. 문제는 북한이다. 남북 간 대화 통로가 차단된 상태에서 북한이 대남, 대미 도발을 계속하면 문 대통령의 구상이 헝클어질 수 있다. 김 부부장은 이날 대북전단 살포와 관련해 강력 비난했다. 미 의회에서 청문회가 열릴 정도로 민감한 사안이다. 김창룡 경찰청장은 이날 대북전단금지법에 따라 신속하고 철저한 수사를 서울경찰청에 지시했다.

 

이도형·김승환 기자 scop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지수 '시크한 매력'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스칼렛 요한슨 '아름다운 미모'
  • 베이비몬스터 아현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