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은 1일 노동절을 맞아 “노동존중사회 실현이라는정부의 목표는 절대 흔들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페이스북에 “코로나 위기가 노동 개혁을 미룰 이유가 될 수 없다. 노동시간 단축은 일자리를 나누며 삶의 질을 높이는 과정”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일자리를 지키는 것이 회복의 첫걸음이라는 마음으로 정부는 고용회복과 고용 안전망 강화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하지만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계신분들이 많다. 일자리를 더 많이, 더 부지런히 만들고, 임금체불과 직장 내 갑질이 없어지도록 계속해서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ILO(국제노동기구) 핵심협약 비준도 노동권에 대한 보편적 규범 속에서 상생하자는 약속”이라며 “우리 자신과 미래 세대 모두를 위한 일이다. 우리 경제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길이다. 잘 안착할수록 노동의 만족도와 생산성이 높아져 기업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함께 회복하고 새롭게 도약하는 세계 노동절이다. 집의 기초가 주춧돌이듯, 우리 삶의 기초는 노동”이라며 “필수노동자의 헌신적인 손길이 코로나의 위기에서 우리의 일상을 든든하게 지켜주었다. 보건·의료, 돌봄과 사회서비스, 배달·운송, 환경미화 노동자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고 사의를 밝혔다. 아울러 “우리 모두 노동의 가치를 더욱 소중하게 생각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노동자 전태일 열사께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드렸다”며 “정직한 땀으로 숭고한 삶을 살아오신 노동자와 노동존중사회를 만들기 위해 애써오신 모든 분들께 존경의 인사를 드린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역시 “현재 국회에는 근로자의 날 공식 명칭을 노동절로 바꾸고 모든 국민이 쉬는 휴일로 하자는 취지의 법안이 제출돼 있다”며 “5월 임시국회에서는 그간의 해묵은 논란이 종식될 수 있길 바란다”고 했다. 민주당은 허영 대변인 명의의 서면 브리핑에서 “코로나19와 4차 산업혁명을 계기로 우리의 노동 환경은 전환점에 놓였다”며 “노동 기본권을 강화하고 노동시장의 양극화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허 대변인은 “저마다의 무게를 견디며 정직한 노동을 이어나가는 모든 노동자 여러분께 존경을 표한다”며 “민주당의 쇄신은 국민 여러분의 일터에서 시작할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코로나19 극복에 앞장서고 계신 의료진과 돌봄노동자 여러분께는 찬사를, 그리고 영업제한조치를 감내하고 계신 자영업자 여러분께는 송구한 마음과 깊은 감사를 드린다”며 “코로나19 위기 속 돋보인 노동의 가치를 깊이 새기며, 노동이 더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박현준 기자 hjunpar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