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립공원인 팔공산을 끼고 있는 자치단체들이 국립공원 승격을 위해 힘을 모은다.
권영진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 최기문 영천시장, 최영조 경산시장, 백선기 칠곡군수, 배기철 동구청장, 박성근 군위군수 권한대행은 30일 팔공산 도립공원 일대를 국립공원으로 승격해 보전 관리하고자 상생 업무협약을 했다.
이들 자치단체는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 준비 협의체 운영과 환경부 국립공원 지정 절차 공동 대응, 지역 현안 해결 등에 머리를 맞댄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이르면 다음 달 국립공원 승격 건의서를 환경부에 제출한다. 환경부가 타당성 조사에 착수하면 공원 경계와 계획안에 주민 의견이 반영되도록 힘쓴다. 이들 자치단체는 환경부 절차가 원활하게 진행되면 내년 6월쯤 국립공원 승격 여부가 결정날 것으로 내다봤다.
팔공산은 1980년 5월에 도립공원으로 지정됐다. 1982년 8월부터 대구와 경북으로 관할 구역이 나뉘었다. 팔공산 전체 면적(125㎢)에서 경북도가 72%(90㎢)를, 대구시가 28%(35㎢)를 차지한다.
팔공산은 우수한 자연생태를 자랑한다. 국보 2점, 보물 28점 등 지정문화재 91점을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 총 5295종의 생물 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앞서 대구시와 경북도는 팔공산 보전 관리 등을 위해 2012년 국립공원 승격을 추진했으나 공감대 형성 부족과 주민 반대로 무산됐다.
그러다가 2018년 10월 열린 대구·경북 상생협력토론회에서 ‘팔공산도립(자연)공원 보전·관리방안 연구용역’을 시행하면서 국립공원 승격에 불씨를 다시 지폈다.
안동=배소영 기자 sos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