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여름 빨리 오고 겨울은 늦게 와
가장 춥다는 ‘大寒’ 최근엔 영상권

겨울잠 자는 개구리를 일찍 깨우게 할 만큼 기후변화가 우리나라의 절기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기상 가장 추운 ‘대한’이나 ‘소한’의 기온이 영상으로 오르고 ‘경칩’ 기온이 나타나는 시기가 열흘 이상 앞당겨졌다.
기상청은 28일 1912년부터 지난해까지 109년간 우리나라 기후변화 추세를 분석해 과거 30년(1912∼1940년)과 최근 30년(1991∼2020년)으로 비교해 발표했다. 기후 분석은 관측자료를 보유한 서울, 인천, 목포, 대구, 부산, 강릉 6개 지점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최근 30년 연평균 기온은 앞선 30년보다 1.6도 상승했다. 연평균 기온은 10년마다 0.2도씩 꾸준히 올랐고 특히 봄·겨울의 기온 상승이 각각 0.26도와 0.24도로 뚜렷했다. 극한기후지수인 폭염·열대야 일수도 각각 각 1일과 8.4일 늘었다.
여름은 20일 길어지고 겨울은 22일 짧아졌다. 봄과 여름 시작일은 각각 17일과 11일 빨라졌고 겨울 시작은 5일 늦어져 이제 사계 중 여름이 118일로 확연히 길었다.
24절기 기온은 과거보다 0.3∼4.1도 올랐다. 가장 기온 상승이 큰 절기는 ‘동지’였고 가장 춥다는 ‘대한’은 2.1도에서 0.9도로, ‘소한’은 영하 1.2도에서 0.8도 모두 영상으로 올랐다. 이제 소한이 가장 큰 추위를 나타내는 절기가 됐다.
개구리가 깨어난다는 ‘경칩’과 여름의 시작인 ‘입하’의 과거 기온이 나타나는 시기는 각 13일과 8일 앞당겨져 봄과 여름 시작일이 빨라진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변화는 지구온난화와 지속된 탄소배출이 원인으로 꼽힌다. 109년 사이 우리나라 기온은 전 세계 평균보다 0.8도 더 상승하고 이산화탄소(CO₂) 농도는 6.5ppm 더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의 온난화·도시화가 전 지구 평균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얘기다.
박유빈 기자 yb@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