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의당 심상정 의원이 과거 ‘외눈박이’식 표현을 사용한 것에 대해 사과했다. 최근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이 ‘외눈’표현을 사용하며 ‘장애인 비하’논란에 휘말린 것과 관련해 심 의원의 과거 발언까지 번지자 진화에 나선 것이다.
27일 심 의원은 페이스북에 “최근 정치인의 장애인 비하 발언과 관련한 논란 중에 저의 과거 발언에 대한 지적이 있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난 2016년에 북한의 핵 실험과 관련해 군 당국을 ‘눈뜬 장님’이라고, 2019년에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손을 들어준 재판부를 비판하며 ‘외눈박이’식 결정을 했다고 논평을 낸 바 있다”며 “이외에도 지난날 제가 미처 인식하지 못했던 차별적 발언들이 있었으리라 생각한다”고 인정했다.
심 의원은 “차별적 언어에 대한 감수성이 부족했고 지난날 저의 발언으로 인해 상처받으신 분들께 깊이 사과드린다”며 “당시에 해당 표현에 대해 한 장애인 단체로부터 지적을 받았고 그분들께 사과드렸다”고 말했다.
그는 “그 일을 계기로 저의 불철저한 인식을 되돌아보고 낡은 언어습관을 고치기 위해서 각별하게 노력하고 있고 정의당은 차별금지법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오래된 관행, 각자에게 배인 습속을 하나하나 고쳐나가는 질긴 노력이 쌓여질 때, 비로소 변화를 만들어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추 전 장관은 지난 26일 페이스북에 “외눈으로 보도하는 언론들이 문제이며 시민 외에 눈치 볼 필요가 없이 ‘양눈’으로 보도하는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을 타박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발달장애인을 동생으로 둔 장혜영 정의당 의원은 “명백한 장애 비하 발언”이라며 “해당 표현에 대한 즉각적인 수정과 진정성 있는 사과를 요구한다”고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상민 의원도 “적절한 지적이고 동의한다”고 동조했다. 이 의원은 “누구든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다른 사람에 대해 함부로 차별적이거나 혐오적 언동을 해서는 안 된다. 그런데도 차별하고 심지어 혐오하고 조롱하고, 배제하는 반인륜적 행태가 여전하다”며 차별금지법 발의를 서두르겠다고 밝혔다.
그러자 추 전 장관은 “오독하고 왜곡한 데 대해 심심한 유감을 표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저는 진실에는 눈감고 기득권과 유착되어 ‘외눈으로 보도하는 언론’의 편향성을 지적했다”며 “장 의원과 이 의원은 문맥을 오독하여 제 뜻을 왜곡한 것”이라며 유감을 표명했다.
양다훈 기자 yangb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