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백신 접종 보류에 현장선 혼란
재개해도 불안 커져 접종률 낮을 듯
정부, 9일 거리두기 조정안 발표

정부가 60세 미만에 대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을 전격 보류하면서 정부가 목표로 잡은 11월 집단면역 형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방역 당국은 전문가 검토를 통해 신속하게 접종 재개를 결정할 방침이지만 갈 길이 쉽지 않아 보인다.
8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에 따르면 당장 8일과 9일 접종 시작 예정이던 학교·돌봄 인력, 취약시설 종사자 18만2084명에 대한 접종이 연기됐다. 60세 미만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대상자 3만8771명도 이날부터 접종이 보류됐다.
현장에선 혼란이 빚어졌다. 전날 오후 8시쯤 이뤄진 갑작스러운 접종 보류 결정에 각 지방자치단체와 보건소는 접종 예정자에게 접종 일정 취소 사실을 알리느라 한바탕 소동을 겪어야 했다.
부산 기장군은 60세 이상 주민에 대해서도 아스트라제네카 접종을 한시적으로 보류한다고 했다가 추진단과 협의 후 정부 방침에 따르겠다고 번복하기도 했다.
정부는 상반기 1200만명, 11월까지 전 국민 70% 접종을 마쳐 집단면역을 형성한다는 목표를 제시했으나 21만여명의 접종이 늦춰지면서 우려가 제기된다. 앞서는 아스트라제네카 65세 이상 접종이 한 달가량 늦춰진 바 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안전성에 대한 신뢰가 흔들린 탓에 접종을 재개한다고 해도 접종 대상자의 동의를 받기 어려울 수 있다.
대체 가능한 백신이 없다는 점도 문제다. 상반기 공급된 백신 중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이 59%를 차지한다. 모더나, 얀센, 노바백스 등 다른 백신 공급 일정은 여전히 불확실한 상태다.
추진단은 전문가 자문을 거쳐 11일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접종 재개 여부를 발표할 예정이다.

코로나19 상황은 악화일로다.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700명이다. 지난 1월7일 869명 이후 최다 수치다. 전체 확진자 중 국내 지역 발생이 674명이다. 주간(4월2∼8일) 일평균 환자 발생은 543명으로, 전날(524명)보다 늘었다.
정부는 최근 유행 확산세를 분석해 9일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유흥시설 방역 강화 등의 조치가 예상된다.
이와 관련해 권덕철 보건복지부 장관(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은 이날 출입기자단 간담회에서 “집단감염이 많이 발생한 곳에 특화해 실효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일률적인 거리두기 단계 인상을 하게 되면 방역수칙을 잘 준수한 다수 국민과 업종이 선의의 피해를 보게 된다”고 말했다.
이진경 기자 lji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