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획재정부는 7일 한국이 ‘기후행동 재무장관 연합’에 가입했다고 밝혔다.
기후행동 재무장관 연합은 경제·재정정책 등에서 기후변화 대응 요소를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2019년 4월 설립됐다. 미국, 일본, 독일,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캐나다 등 60개 국가가 가입했으며 핀란드와 인도네시아가 공동의장을 맡고 있다.
전날 회의는 화상으로 ‘저탄소 전환과 경기 회복 촉진 방안’, ‘재무부와 중앙은행 간 기후위험 관리를 위한 협력 방안’, ‘주요 이해관계자와의 탈탄소 진전 방안’ 3개 세션으로 진행됐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저탄소 전환과 경기 회복 촉진 방안 세션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재무장관들의 3가지 중점 기후변화 대응 정책과제를 강조했다고 기재부는 전했다.
홍 부총리는 “탄소 가격 정책, 탄소 국경 조정 등 경제 분야 기후 변화 대응 정책은 다른 나라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이런 정책이 보호무역주의로 악용되는 것을 방지하고 ‘윈윈(win-win)’ 정책이 수립될 수 있도록 재무 트랙 간 긴밀한 국제 공조가 중요하다”고 발언했다. 이어 “올해는 파리협정 시행 원년인 만큼 파리협정 이행규칙에 대한 조속한 합의가 이뤄질 수 있도록 국제적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개발도상국의 참여가 필수적이며 개도국의 저탄소 경제 전환 지원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며 “한국은 개도국 저탄소 전환의 어려움을 누구보다 잘 인식하고 있는 만큼 우리의 전환 경험을 적극 공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린 공적개발원조(ODA) 확대 등을 통해 전 세계적 기후재원 조성 노력에 동참할 예정이라고도 덧붙였다.
또 기후변화 대응 노력을 경기 진작, 일자리 창출과 직결시키는 ‘녹색 회복’ 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한국의 그린 뉴딜 정책을 소개했다. 오는 5월 서울에서 개최되는 제2차 P4G(녹색성장과 2030 글로벌 목표를 위한 연대) 정상회의에 대한 회원국의 참여와 관심도 당부했다.
세종=박영준 기자 yj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