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남북 관계개선 등 ‘도쿄구상’ 무산
통일부“한반도 평화·협력 노력 지속”

북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 따른 선수 보호 차원에서 오는 7월 개막 예정인 도쿄올림픽에 불참하기로 했다. 도쿄올림픽을 남북, 북·미, 북·일 관계 개선의 전기로 삼아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추진하려던 문재인정부 구상도 무산됐다.
북한 체육성은 6일 ‘조선체육’ 홈페이지를 통해 “조선올림픽위원회는 총회에서 악성 바이러스 감염증에 의한 세계적인 보건위기 상황으로부터 선수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위원들의 제의에 따라 제32차 올림픽 경기대회에 참가하지 않기로 토의결정했다”고 밝혔다. 북한이 하계올림픽에 불참하는 건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33년 만이다.
총회는 지난달 25일 평양에서 화상회의 방식으로 열렸다. 당시 북한은 총회 개최 사실은 보도했지만 올림픽 불참 결정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북한이 뒤늦게 매체를 통해 구체적인 결과를 공개한 것이다.
북한이 표면적으로 내세운 불참 사유는 코로나19 방역이지만 삐걱거리는 북·일관계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일본인 납치 문제와 대북 제재 등으로 일본과 불편한 관계를 이어왔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외형상으로는 코로나 감염으로부터 선수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고 하지만 올림픽 참가가 실익이 없다는 판단과 함께 제재 연장 등 일본의 대북 적대시정책에 대한 정치적 반감도 작용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도쿄올림픽이 한반도 평화와 남북 간 화해·협력을 진전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왔으나 코로나19 상황으로 그러지 못하게 된 데 대해 아쉽게 생각한다”면서 “앞으로도 스포츠 등 여러 분야에서 한반도 평화와 협력을 진전시킬 계기를 찾기 위한 노력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 정부 대변인 가토 가쓰노부(加藤勝信) 관방장관은 이날 각료 회의 후 브리핑에서 북한의 도쿄올림픽 불참에 대한 질문을 받자 “보도는 알고 있지만 대회조직위원회 등의 조율 과정인 만큼 그 조정을 주시하겠다”고 말했다.
원재연 선임기자, 도쿄=김청중 특파원march27@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