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법정관리 조기졸업으로 방향 잡은 쌍용차

입력 : 2021-04-04 20:08:16 수정 : 2021-04-04 20:08:15

인쇄 메일 url 공유 - +

법원 “절차 최대한 축소” 구두전달
내주 중 회생절차 개시 여부 결정
3∼4곳,법정관리 후 인수의향 표명

경영 위기를 겪는 쌍용차에 대해 법원이 회생개시 결정 등을 빠르게 진행해 ‘법정관리 조기졸업’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회생법원은 쌍용차 측에 기업 회생 절차 돌입 시 절차를 최대한 단축하겠다는 입장을 구두로 알린 것으로 확인됐다.

통상 회생 절차 시 회생계획안 제출에 4개월 이상이 걸리고, 회생 종결까지 1년 이상의 시간이 걸리는데 이미 쌍용차의 회생 절차가 지연된 만큼 속도를 내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법원은 늦어도 다음주까지는 쌍용차에 대한 회생 절차 개시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회생 절차 개시를 결정하면 채권 신고와 조사, 회생계획안 제출 등의 절차를 거치게 된다. 쌍용차가 회생채권의 탕감 비율 등을 포함한 회생계획안을 제출하면 법원이 채권단에 동의 여부를 묻게 되고, 이에 동의할 경우 회생계획안은 인가된다.

채권단이 동의하지 않을 경우 법원이 조율에 나서고 이마저도 실패한다면 최악의 경우 파산에 이를 수 있다. 다만 회생 절차와 관계없이 변제받을 수 있는 공익채권 규모가 3700억원에 달하는 만큼 채권단도 쌍용차의 파산을 원하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파산할 경우 직접적인 실업자만 2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돼, 정부도 이를 손 놓고 있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업계에서는 법정관리 후 국내 전기버스 업체인 에디슨모터스 등 관련 업계 3∼4곳이 쌍용차를 인수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에는 쌍용차 협력업체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쌍용차 협력업체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는 법원의 회생 개시 결정 직후 해체해 채권단을 다시 꾸릴 계획이다. 앞서 쌍용차 비대위는 지난 2일 회의를 열고 향후 대책 등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는 HAAH오토모티브의 투자만 기다리고 있던 쌍용차 경영진에 대한 질타가 쏟아진 것으로 전해졌다. HAAH오토모티브는 쌍용차와 인수 협상을 이어왔으나 현재까지 이렇다 할 답변을 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쌍용차가 회생 절차 개시를 위한 수순에 돌입하면서 협력업체의 파산과 직원들의 이탈도 이어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이미 파산한 영세업체들이 적지 않고, 앞으로도 문을 닫는 곳이 늘어날 전망이다. 쌍용차 직원 수는 2019년 말 기준 5003명에서 작년 말 기준 4869명으로 줄었고, 올해도 퇴사하는 직원이 잇따르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정우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