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공공기관 최초로 블록체인 기반 모바일사원증을 도입했다고 29일 밝혔다.
KISA 모바일사원증은 스마트폰의 근거리 통신 기능을 활용한 비접촉 방식이다.
분산신원증명(DID) 기술을 적용한 이 모바일사원증은 발급·출입 이력 정보를 위·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인증에 필요한 개인정보는 이용자 스마트폰에 암호화해서 보관한다. 기존 사원증보다 안전하게 개인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고 KISA는 설명했다.
KISA 직원들은 모바일사원증을 사무실 출입뿐 아니라 도서 대출·구내식당 이용등에도 활용하게 된다.
김건호 기자 scoop3126@sge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황정미칼럼] 머니 무브의 종착지는?](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7547.jpg
)
![[설왕설래] 최장수 사법연수원장](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7560.jpg
)
![[기자가만난세상] 구경당하는 불쾌함에 대하여](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7508.jpg
)
![법정서 ‘여사님’을 붙일 수 없는 이유 [서아람의 변호사 외전]](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03/128/20251103514866.jpg
)







![[포토] 윈터 '깜찍하게'](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31/300/20251031514546.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