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의 '5·18 무릎 사죄'가 당 안팎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면서 통합당의 '서진'(西進) 정책이 한층 탄력을 받는 모습이다.
김종인 위원장 취임 이후 시작된 통합당의 호남 끌어안기는 지난 19일 광주 국립5·18 민주묘지에서 보수정당 대표로는 최초로 무릎을 꿇고 "죄송하고 또 죄송하다"며 울먹인 김 위원장의 발언으로 정점을 찍었다.
통합당의 서진 정책은 지난 4·15 총선에서 참패한 데 따른 '자기반성'에서 출발했다. 이명박·박근혜 정부를 거쳐오면서 '영남권'에 매몰된 상황을 탈피, 전국정당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다.
김종인 위원장 주도로 진행된 호남 끌어안기 정책은 실제 호남 민심에도 영향을 주기 시작한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 4·15 총선 직후 여론조사 전문업체 리얼미터가 실시한 4월3주 차 주중집계에서 통합당은 광주·전라에서 11.9%를 기록했다. 이후 4~6월까지 10%대의 정당 지지도를 보였다.(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고)
이후 7월 들어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가 겹치면서 7월2주 18.3%로 고점을 찍었다. 8월 들어 전남 지역 수해지원 활동 등 본격적인 호남 끌어안기를 시작한 이후 21.8%로 최고점을 찍었고, 둘째 주 10.8%, 셋째 주 17.5%를 기록하고 있다.
조사별로 편차는 있지만 대체로 호남 지지율이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나 통합당의 서진 정책은 이제 시작일 뿐인 만큼 현재는 바닥을 다지는 수준으로 봐야 한다는 당 안팎의 설명이다. 현실적으로 한두 번의 변화된 모습만으로 호남에서 눈에 보이는 지지율 상승은 어렵기 때문에 앞으로도 갈 길이 멀고, 상승할 여지도 그만큼 많다는 것이다.
당장 당내 호남 인사들 사이에선 신중하지만 기대에 섞인 평가가 나온다.
통합당이 김 위원장 취임 후 다시 호남 공략에 나서는 것은 단순히 '호남 지역' 민심을 겨냥한 것만은 아니다.
지난 총선에서 호남에서 제대로 된 후보조차 내지 못했던 상황에서 불과 몇 달의 노력만으로 그동안의 실책을 덮을 순 없다. 또 서진 정책은 전라·광주 지역 뿐 아니라 인구가 밀집된 수도권과 주요 선거의 캐스팅 보트인 '충청권'에 있는 호남 지역 출신도 대상으로 한다. 기존 영남권에 매몰된 정당이 아닌 전국정당을 지향하고 있다.
통합당 국민통합위원회가 이날 '호남 제2지역구 갖기 운동' 및 호남 인재 육성을 위한 '호남지역 인사 비례대표 우선 추천제'를 추진하겠다고 밝힌 것 역시 이와 같은 맥락으로 보인다.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