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한은 “코로나 강력 봉쇄시 취업자 35% 단기 실직 위험”

입력 : 2020-08-19 06:00:00 수정 : 2020-08-19 07:42:55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한은, 고용취약성 측정 보고서
非필수직·재택 어려운 일자리
단축근무·일시적 휴업 등 늘 듯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강력한 봉쇄조치가 취해진다면 단기적으로 취업자의 35%(비필수·비재택근무자), 장기적으로 46%(고대면접촉·비재택근무자)가 정상적인 경제활동을 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18일 ‘코로나19에 대한 고용 취약성 측정 및 평가’ 보고서를 내고 “코로나19에 따른 고용상황 악화는 일반적인 경기 부진 때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며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에 취약한 일자리를 살펴봤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취약일자리 유형을 비(非)필수·비(非)재택근무·고(高)대면접촉 3가지로 분류했다. 비필수 일자리 비중은 전체 취업자의 42%였다. 숙박·음식, 부동산, 예술·스포츠, 여가 등 산업에서 비필수 일자리 비중이 높았다.

 

재택근무가 어려운 비재택근무 일자리는 전체의 74%로 농림어업, 숙박·음식, 운수 창고 등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고대면접촉 일자리 종사자는 전체 취업자의 55%로 나타났다. 숙박·음식, 보건복지, 교육서비스 등에서 고대면접촉 일자리 비중이 높았다.

 

취약 유형이 2개 이상 겹치는 일자리는 고용위험에 더 크게 노출된다. 비필수직이면서 재택근무도 어려운 일자리는 전체 취업자의 35%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될 경우 단기실업 위험이 커진다. 예를 들어 매장판매직은 출퇴근 및 영업이 불가능하며 재택근무도 어려워 일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게 된다.

한은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강력한 봉쇄조치 시 취업자 3명 중 1명은 단축근무, 일시적 휴업이나 실업 등 정상적인 경제활동이 어렵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대면접촉이 많으면서 재택근무가 어려운 일자리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한 뒤에도 실업상태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한은은 음식 및 미용 서비스 종사자를 예로 들며 “대면접촉도가 높고 재택근무도 불가능해 장기적으로 실업 위험뿐 아니라 감염 위험에 크게 노출된다”며 “고대면접촉·비재택근무 일자리 비중은 전체의 46%에 해당하며 이에 해당하는 일자리는 고용회복에 상당한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한은은 지난 3∼6월 감소한 취업자 대부분이 취약일자리에서 발생한 것으로 파악했다. 한은에 따르면 이 기간 취업자 수 감소에 대한 비필수, 비재택근무, 고대면접촉 일자리의 기여율은 각각 106%, 77%, 107% 수준이었다. 이는 취업자가 100명 줄었을 때 비필수 일자리에서는 106명이 감소했고, 오히려 필수직 일자리에서 6명이 늘었다는 뜻이다.

 

한은은 “비필수 일자리의 높은 기여율은 국내에서 봉쇄조치가 없었는데도 경제주체들이 자발적으로 봉쇄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대응했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고용 회복 과정에서 장기적으로 감염병에 취약한 고대면접촉·비재택근무 일자리의 고용 부진이 이어지면서 산업별·직업별 고용 재조정이 이뤄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희원 기자 azahoit@segye.com, 사진=세계일보 자료사진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한지민 '우아하게'
  • 한지민 '우아하게'
  • 아일릿 원희 '시크한 볼하트'
  • 뉴진스 민지 '반가운 손인사'
  • 최지우 '여신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