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전 세계 사망자 수가 20일 1만명을 넘어섰다. 최근 유럽과 미국 중심의 급격한 확산세로 경기 침체가 장기화할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미국 등 주요국이 재난기본소득 성격의 현금 지급 방안 등이 포함된 경기부양책을 구체화하고 있다.

미치 매코널 미 공화당 상원 원내총무는 19일(현지시간) 백악관 등과 협의를 거쳐 247쪽짜리 ‘경제회생 패키지’ 법안을 공개했다. 법안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심각한 경영난에 처한 항공업계, 숙박업계, 요식업계, 관광업계 등을 구제하기 위해 정부가 수천억달러의 자금을 긴급 대출해 주고, 법인세를 경감하거나 세금 납부를 유예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일반 국민에게 나눠 줄 현금 지급 방식도 일부 조정됐다. 공화당은 1인당 1200달러(부부 합산 2400달러)를 제공하고, 아동 1명당 500달러를 추가로 지급하기로 했다. 연간 개인소득 7만5000달러, 부부 합산 15만달러 이하 소득자는 1200달러를 모두 주고, 7만5000∼9만9000달러 소득 계층에게는 지원금을 차등 지급한다. 개인 9만9000달러 이상, 부부 합산 19만8000달러 이상의 소득자는 현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한다. 백악관은 당초 소득세 면제 대상인 저소득층은 현금 지급 대상에서 제외했으나, 공화당이 이들에게도 성인 1인당 600달러를 주도록 했다. 공화당은 이 같은 안을 토대로 민주당과 협의에 나설 계획이다.

일본 정부는 국민 1인당 2만엔(약 22만6000원) 이상의 현금 지급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20일 보도했다. 일본은 2009년 금융위기 당시에는 1인당 1만2000엔(만 18세 이하와 만 65세 이상은 2만엔)을 지급했다. 일본 정부는 또 코로나19 감염 환자나 이번 사태로 경제적 영향을 받은 사람에 대해서는 국세 및 사회보험료 납부를 원칙적으로 1년 유예하고, 지방세에 대해서도 같은 조치를 하도록 각 지방자치단체에 요청했다. 상하수도 및 전력, 가스, NHK 수신료, 휴대전화요금에 대해서도 납부를 유예할 수 있도록 관계기관 등에 요청했다고 신문이 전했다.
영국은 기준금리를 역대 최저 수준인 0.1%까지 내리고, 영국 국채 및 회사채 보유 잔액을 2000억파운드(약 294조원) 늘리기로 했다.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은 19일(현지시간) 통화정책위원회 특별회의를 열고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기존 0.25%에서 0.1%로 0.15%포인트 낮추기로 했다. 영란은행은 앞서 지난 11일에 기준금리를 기존 0.75%에서 0.25%로 0.5%포인트 전격 인하했다.

각국 정부가 이 같은 경기부양책을 내놓는 것은 코로나19 공포가 커지면서 여행·항공·숙박업뿐 아니라 제조업도 직격탄을 맞고 있기 때문이다. AP통신 등에 따르면 미 제너럴모터스(GM) 등 3대 자동차 업체가 북미 공장 가동을 임시 중단하면서 15만명의 노동자가 놀고 있다. 뉴욕, 시애틀 등지에 54개 호텔을 보유한 페블브룩호텔은 최근까지 전체 직원의 절반인 4000명 이상을 정리해고했다. 노르웨이항공은 전 직원의 90%가량인 약 7300명을 일시 해고하기로 했다. 폴크스바겐 스페인 공장도 직원 1만4000명에게 무급휴가를 줬다.
미 존스홉킨스대 시스템과학공학센터(CSSE)에 따르면 20일 오후 10시(한국시간) 현재 163개국 확진자는 24만6275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 수는 발병 후 처음으로 1만명대(1만38명)에 진입했다. 특히 이탈리아의 누적 사망자 수가 3405명을 기록해 중국(3248명)을 추월했다. 유럽 상황이 악화함에 따라 오는 5월 예정이던 프랑스 칸영화제도 연기됐다.
반면 중국은 18, 19일 신규 확진자 73명이 모두 해외 역유입 사례로 파악됐고, 발원지인 우한과 후베이성에서는 이틀째 확진자가 나오지 않았다.
워싱턴·도쿄·베이징=국기연·정재영·김청중·이우승 특파원, 유태영 기자 ku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