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창하고 우수한 글을 쓰기 위해서는 시간을 투자해야 할 뿐만 아니라 전적인 몰입이 필요하다. 동기(motive)는 필자들이 창조적인 상태에 들어가 쓰기 능력을 온전히 발휘하게 하는 데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많은 연구는 우수한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동기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여러 증거를 통해 보여준다. 예를 들어 군인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복잡한 문제가 주어졌을 때 성취동기가 높은 사람이 가장 잘 문제를 해결했다. 아울러 이를 위한 노력이나 몰입, 지속성도 당연히 높았다. 산업연구소의 과학자 및 공학자들의 연구 성과는 강한 책임감과 동기, 이와 연관된 몰입 정도와 상당히 높은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어떤 일이든 하고 말겠다는 강한 동기와 의지는 성공의 지름길이 된다.
동기는 외적 동기와 내적 동기로 나눌 수 있다. 외적 동기는 상벌처럼 외부적인 보상이나 과제의 중요도 같은 것에 해당한다. 문학상에 투고하기 위한 글이나 대학 입시의 논술은 외적 동기가 분명한 글쓰기라 할 수 있다. 반면에 내적 동기는 과제에 흥미와 호기심을 가지고 자기만의 문제의식을 찾아 몰입할 수 있는 자기 충족적 의지를 지칭한다. 뛰어난 작가나 해당 분야의 전문가는 대체로 내적 동기가 강한 사람들이다.
외적 동기와 내적 동기에 관해서는 아마빌레의 실험이 있다. 아마빌레는 한 그룹에는 외적 동기를 부여하고 다른 그룹에는 내적 동기를 부여해서 문학적 텍스트(시)를 쓰게 했는데, 창의성의 측면에서 차이가 확연했다. 외적 동기를 부여한 그룹은 평소보다 창의성이 떨어졌다. 큰 상을 받기 위해 좋은 작품을 쓰라고 하면 작품의 발상이나 구성이 잘 나오지 않은 것이다. 심리학자인 글럭스버그의 실험도 그러했다. 단순하고 반복적인 작업에서는 금전과 같은 외적 동기가 영향을 주었지만 창의성에는 오히려 반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대체로 위대한 작가나 학자들은 자신만의 문제의식을 가지고 한평생 씨름하여 걸작들을 만들어낸 사람들이다. 부모의 강요로 법학을 전공하고 보험회사에 다니면서도 글쓰기 외에는 어떤 삶의 의미도 거부했던 프란츠 카프카나 18년 유배 생활에서 남들이 읽지 못해도 자신만의 책을 250권이나 썼던 정약용이 그러한 사람이다. 일상의 다양한 과업은 외적 보상이 큰 역할을 하지만 글쓰기는 내적 동기가 더 큰 역할을 한다. 좋은 글을 쓰기 위해 세상을 보는 눈, 자신만의 문제의식과 몰입, 강한 내적 동기가 필요하다.
정희모 연세대교수·국문학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