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군이 25일 독도방어훈련에 전격 돌입했다. 해군은 이날 오전 “오늘(25일)부터 26일까지 동해 영토수호훈련을 실시한다”며 “훈련에는 해군·해경 함정과 육·해·공군 항공기, 육군·해병대 병력 등이 참가한다”고 밝혔다. 이어 “독도를 비롯한 동해 영토수호 의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 훈련 의미와 규모를 고려해 이번 훈련 명칭을 ‘동해 영토수호훈련’으로 명명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훈련은 정부의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 선언이 나온 지 사흘 만에 시작됐다. 일본 정부는 강하게 항의하며 훈련 중단을 요구했다.

해군 관계자는 “이번에 처음으로 훈련 이름을 변경했고 규모도 예년보다 커졌다”며 “영토수호를 위한 정례적인 훈련인데, 특정 지역이 아닌 울릉도를 포함한 동해의 우리 영토를 다 지키겠다는 의미를 담았다”고 말했다.
이번 훈련에는 해군 이지스구축함 세종대왕함(7600t)을 비롯한 함정 10여척과 F-15K 전투기 등 항공기 10여대가 투입됐다. 세종대왕함의 독도방어훈련 참가는 이번이 처음이다. 해병대와 육군 병력은 기상여건 등을 고려해 독도와 울릉도 일대에서 훈련을 실시한다.

군은 지난 6월 독도방어훈련을 하려 했으나 한·일관계에 미칠 파장을 고려해 미뤄왔다. 하지만 일본이 한국에 대한 경제보복 기조를 누그러뜨릴 기미를 보이지 않자 정부 내 기류도 바뀐 것으로 알려졌다. 지소미아 파기 결정에 이어 정부가 일본과의 전면전에서 압박 강화 조치를 취한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은 이날 김경한 주일 한국대사관 정무공사에게 전화를 걸어 “다케시마(독도에 대한 일본식 표현)는 역사적 사실이나 국제법적으로 명확히 일본 고유의 영토라는 점을 볼 때 이번 한국군의 훈련을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으며 극히 유감”이라고 밝혔다고 NHK가 보도했다. 주한 일본대사관도 외교부에 항의하며 훈련 중단을 요구했다. 요미우리 신문은 “수출관리 엄격화(무역보복에 대한 일본식 표현)에 대한 사실상의 대항(보복) 조치일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청와대 고민정 대변인은 이날 오후 브리핑에서 일본 항의에 대해 “이번 동해 영토수호훈련은 그야말로 우리의 주권과 영토를 수호하기 위한 훈련”이라며 “올해만 특별히 하는 것이 아니라 매년 정례적으로 이루어졌었던 훈련”이라고 반박했다. 고 대변인은 “꼭 일본 한 나라를 생각해 두고 그런 결정을 내린 것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박수찬·김달중 기자, 도쿄=김청중 특파원psc@segye.com
사진=해군 제공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