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WT논평] Mr. Erdogan has grown increasingly repressive at home

관련이슈 WT사설-논단

입력 : 2019-08-20 23:31:57 수정 : 2019-08-20 23:31:59

인쇄 메일 url 공유 - +

Only yesterday, Turkey was considered a candidate for membership in the European Union, a reliable friend of the West. Turkey was reasonably modern, forward looking, and Western oriented. Turkey was already a member of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 and membership in the EU would only cement its alliance with the West.

Alas, over the past several years Turkey has devolved from something unique to something close to just another depressing redoubt of Middle Eastern despotism. Recep Tayyip Erdogan bears much of the blame and responsibility for such a sorry state of affairs, and for Turkey’s growing estrangement from the Western world that it once looked to for guidance.

Turkey only yesterday enjoyed strong relations with Israel. It was the first Muslim-majority country to establish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Jewish state, and for decades Turkey and Israel enjoyed not only strong diplomatic ties, but economic and military relations as well.

But Mr. Erdogan, as befits his Islamist outlook, has shifted Turkey’s relations with Israel to one of hostility.

Attacking Israel is a convenient diversion from pressing problems at home. The Turkish lira hit a record low last week, and its value has declined by about 20 percent so far this year, impoverishing Turks. Both public and private sectors are heavily indebted, which economists blame for the failing currency.

Right out of a Middle Eastern strongman’s playbook, Mr. Erdogan has grown increasingly repressive at home. About 40,000 teachers were fired after a failed coup attempt. Nearly 130,000 Turks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were sacked over accusations of ties to the Gulenist movement, which Mr. Erdogan blames for the failed attempt to remove him. 30

 

국내의 탄압을 강화하는 에르도안

 

별로 멀지 않은 과거에 터키는 유럽연합(EU) 회원 후보국이자 서방의 신뢰받는 우방국으로 간주되었다. 터키는 상당히 현대적이고 전향적이며 서방 지향적이었다. 터키는 이미 북대서양조약기구(NATO)의 회원국이었며 EU 회원국이 되면 서방과의 동맹이 확고해질 뿐이다.

 

유감스럽게도 지난 몇년 동안 터키는 독보적 존재에서 단지 중동 독재주의의 또 다른 우울한 보루에 가까운 존재로 옮아갔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이 그런 유감스러운 상황과 터키가 과거 길잡이로 삼았던 서방 세계로부터 점차 멀어진 것에 대한 비난과 책임의 대부분을 지고 있다.

 

터키는 별로 멀지 않은 과거에 이스라엘과의 강력한 관계를 누렸다. 터키는 무슬림이 다수를 차지하는 나라가 유대 국가와 외교관계를 수립한 최초의 사례였으며, 수십년 동안 터키와 이스라엘은 강력한 외교관계뿐만 아니라 경제적·군사적 관계 또한 유지해 왔다.

 

그러나 에르도안은 자신의 이슬람주의 세계관에 걸맞게 터키의 대이스라엘 관계를 적대적 관계로 변화시켰다.

 

국내의 각종 긴급한 문제로부터 주의를 돌리게 하는 편리한 방법으로 이스라엘을 공격하는 것이다. 터키의 리라화는 지난주 사상 최저를 기록했고, 리라화 가치는 올해 들어 현재까지 대략 20% 하락하여 터키 국민을 가난하게 만들었다. 공공과 민간 부문 모두 많은 빚을 지고 있는데, 경제전문가들은 리라화 가치 하락을 그 원인으로 지목한다.

 

중동 독재자들의 각본을 그대로 따라 하는 에르도안은 국내에서 탄압을 점점 강화해 왔다. 쿠데타 기도가 실패한 다음 대략 4만명의 교사들이 해고당했다.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에서 근 13만명의 터키인이 귈렌 운동과 연계되었다는 비난을 받고 직장에서 쫓겨났다. 에르도안은 귈렌 운동이 자신을 제거하기 위한 이번 불발 쿠데타의 원인으로 지목한다.

 

역주=오성환 외신전문위원 suhwo@segye.com


오피니언

포토

정채연 '깜찍한 볼하트'
  • 정채연 '깜찍한 볼하트'
  • 김유정 '친애하는 X'
  • 아이브 레이 '완벽한 비율'
  • 홍수주 '아름다운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