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핵 문제는 문재인정부의 외교 정책의 핵심 사안으로 평가받는다. 그동안과 마찬가지로 6월에도 한·미 정상회담, 남북정상회담 추진 등 대부분의 굵직한 외교 일정이 여기에 초점을 맞춰 돌아간다. 북핵 문제가 한국 외교의 핵심이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지만, 지난 2월 북·미 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핵 문제는 우리 의지로 밀어붙이기보다 하반기까지 이어질 북·미의 줄다리기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오히려 6월엔 상반기의 가장 큰 다자정상외교 무대인 G20(주요 20개국) 정상회의를 앞두고 한·일, 한·중, 한·러 등 주변 4강과의 관계를 다질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6월 한반도 주변국인 일본 오사카에서 열리는 G20 회의를 앞두고 현재 확정된 주요국 정상회담 일정은 한·미 정상회담뿐이다. 한국 외교의 상황은 미·중·러·일이 다양한 양자 회담을 개최하며 현안을 챙기고 있는 흐름과는 다르다.

◆“한·일 갈등 해결 지금이 적기”
지난 27일 개최된 미·일 정상회담은 화기애애하게 진행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한·일 관계 등을 언급할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는 이유다. 6월 이후 다시 북핵 시계가 돌아가기 전 한·일 관계 재정비 필요성도 제기되는 배경이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27일 “(6월 한국 외교에서) 포인트는 한·일 관계”라고 짚었다. 양국 정상회담 계기는 이번 G20이 지나면 다시 연말을 기다려야 한다. 신조 아베 일본 총리가 한·일 정상회담 개최에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졌지만, 박원곤 한동대 교수는 “안 된다고 하면 책임은 일본에 있으므로, 이 같은 시점에 우리가 공세적으로 한·일 정상회담(제안)을 치고 나가는 것도 좋다”고 말했다.
강경 일변도를 걷던 일본 내부에서도 G20을 앞두고 최근 미약하지만 기류 변화의 조짐이 보인다. 니혼게이자이신문 등 일본 주요 언론은 최근 ‘G20 의장국인 일본이 한국과 각을 세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한·일 두 정상이 얼굴을 마주할 모처럼의 기회를 살려야 한다’는 요지의 사설을 싣고 있다. 조세영 외교부 1차관은 이날 취임 후 기자들과 상견례를 가진 자리에서 한·일 관계와 관련, “모든 상정할 수 있는 경우에 대비해 치열한 분석과 검토를 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직접 북한 공략보다 주변국과 관계 정비
전문가들은 현재 북한의 소극적인 태도로 볼 때 6월 한·미 정상회담 전 원포인트 남북정상회담 등은 쉽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보다는 그간 소원했던 한·중, 한·러 관계 보강을 조언했다. 특히 세계 경제를 강타하고 있는 미·중 무역 갈등이 G20 회의 주요 의제가 될 것인 만큼 이를 염두에 두고 우리의 실리와 위험 관리를 한꺼번에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박원곤 교수는 “화웨이 사태와 관련해서 미·중 사이에서 어떤 입장을 취할 것인지 정해야 한다”며 “그간 소원했던 러시아와의 관계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신범철 센터장은 “화웨이 제재에 대한 미 측의 동참 압박에 중국이 전전긍긍하는 상황에서 우리의 사드 제재를 놓고도 중국과 협상해 볼 수 있는 시기”라고 평가했다.
홍주형 기자 jhh@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