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한반도 대화’ 재시동 건 金… 남북·북미관계 개선 나선 듯

입력 : 2018-12-30 21:49:09 수정 : 2018-12-30 21:51:04

인쇄 메일 url 공유 - +

10개월 만에 다시 온 김정은 친서 의미/金 신년사에 같은 내용 담길 듯/與 “적극 환영” 野 “호들갑 안돼”/국정원·통전부 채널 가동됐다면/비핵화 현안 광범위 협의 가능성/전문가 “‘정세 변화 본다’는 건/北·美회담 뒤 오겠다는 취지” “존경하는 문재인 대통령 각하, 평양에서의 우리의 상봉이 어제 일 같은데 벌써 100여일이나 지나 지금은 잊을 수 없는 2018년도 다 저물어가는 때가 되었습니다.”
민생행보 나선 김정은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29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최근 열린 제4차 전국농업부문열성자회의에 참석했다고 보도했다. 사진은 대회 참가자들의 환호에 손을 들어 화답하는 김 위원장.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30일 친서 외교로 한반도 대화 정국을 다시 시동 걸었다. 김 위원장의 청와대 친서 전달은 이날 오후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정상 간 친서 내용은 비공개가 관례다. 이 때문에 청와대가 주요 취지만 공개한 친서에는 김 위원장의 올해 성과에 대한 평가, 문 대통령 초청에 응하지 못한 아쉬움, 내년 남북·북미 관계 개선 의지가 담겨 있다.

문 대통령은 즉각 소셜미디어로 이를 반겼다. 문 대통령의 8줄 메시지 앞부분은 “새해를 앞두고 김정은 위원장이 편지를 보내왔다”며 국민에게, 뒷부분은 “가족들 모두 건강하시길 바라며, 새해에 다시 만나길 기원한다”고 김 위원장에게 할애됐다. 남북 정상이 공개 메시지 교환을 통해 지난 9월 3차 남북 정상회담 이후 석 달 만에 정상외교를 재개한 셈이다.

청와대에 김 위원장 친서가 다시 전해진 것은 10개월 만이다. 지난 2월에도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이 문 대통령을 평양에 초청하는 친서를 전달, 올해 남북 대화의 물꼬를 텄다.

이번 친서는 그 시점이 중요하다. 한반도 정국은 김 위원장 첫 친서 이후 3차에 걸친 남북 정상회담과 역사적 첫 북·미 정상회담까지 일사천리로 진행되다 비핵화 실무 협상에서 난관을 만나 멈춰 선 상태다. 그 결과 서울 연내 답방까지 무산되자 김 위원장이 일단 이를 매듭짓고 연말 인사도 겸하는 친서 카드를 다시 꺼낸 것이다. 특히 김 위원장은 내년에도 문 대통령을 자주 만나 한반도 비핵화를 함께 풀어나가겠다는 뜻을 전했다. 이는 내년 한반도 정국의 풍향계가 될 김 위원장의 2019년 신년사에 담길 내용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김정은 친서 표지 문재인 대통령이 30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으로부터 받은 친서. 청와대는 이날 표지와 일부 내용만 공개했다.
청와대 제공
다만 ‘악마는 디테일에 있다’는 격언처럼 비핵화 방법론을 두고 북·미 간 입장차가 좁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김 위원장 친서가 교착 상태인 북·미 비핵화 협상을 풀 열쇠는 아니다. 그러나 이번 친서 외교가 꼬인 비핵화 협상 실타래를 풀 첫 단계가 될 가능성은 적지 않다.

우선 이번 친서 전달에는 서훈 국가정보원장과 김영철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이 직접 만났을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만약 국정원-통일전선부 채널이 가동됐다면 서 원장과 김 통전부장이 친서만 주고받은 게 아니라 남북, 비핵화 현안을 광범위하게 협의했을 가능성이 크다. 또 이번 김 위원장 친서는 새해 대북 특사 파견을 통한 문 대통령 친서 전달에 이어 김 위원장 답방 확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연구기획본부장은 “김 위원장이 상황을 주시하면서 서울을 방문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명했기 때문에 내년 상반기에는 답방이 성사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답방시기에 대해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정세 변화를 본다’는 건 북·미 대화를 우선시한다는 것이다. 북·미 정상회담 후 오겠다는 취지”라고 풀이했다.

김 위원장 친서 전달에 여당은 “적극 환영”, 자유한국당 등 야당은 “호들갑 안 돼”라는 반응을 보였다.

박성준·김예진 기자 alex@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
  • 이나영 ‘수줍은 볼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