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300명의 헬스케어 빅데이터를 생산·관리하고, AI를 신약개발에 활용하는 내용이 담긴 ‘4차 산업혁명 기반 헬스케어 발전전략’을 10일 발표했다. 이 발전전략은 이날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제9차 회의 심의를 거쳐 확정됐다.
정부는 내년부터 2021년까지 일반인, 암 생존자 등 300명의 건강·의료·유전체 데이터를 추려 통합·분석하는 ‘헬스케어 빅데이터 쇼케이스 사업’을 추진한다. 또 AI 활용을 통해 신약개발 기간과 비용을 단축하고 임상시험 효율과 품질 등을 관리하기 위한 스마트 임상시험 구축사업도 진행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건강수명을 2015년 73세에서 2022년 76세로, 바이오헬스 분야 일자리도 2016년 13만명에서 2022년 18만명으로 늘릴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로봇시장 확대를 위해 내년까지 기초지방자치단체에 장애인과 노약자를 위한 돌봄로봇 1000여대를 보급한다. 자율주행 배송로봇과 군사용 로봇 등 신성장산업에 필요한 로봇 개발도 지원한다. 산업부는 이날 회의에서 이런 내용의 ‘로봇제품의 시장창출 지원방안’을 보고했다.
산업부는 올해 전남 광양시와 함께 10억원을 들여 광양에 장애인과 노약자의 배변을 돕고 대화상대를 하는 로봇 350대를 보급한다. 내년에는 2개 지자체를 공모해 약 800대를 보급하고 이후 확대할 계획이다. 관계 부처와 협력해 농업용 로봇, 수중로봇, 자율주행 배송로봇, 태양광 패널 청소형 로봇, 스마트공장·스마트산업단지용 협동로봇, 군사용 로봇 등도 개발한다. 특히 물류, 수술, 개인서비스 등에 활용하는 ‘비즈니스 창출형 서비스로봇’ 개발에 2020년부터 2026년까지 4026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4차위는 이날 논의에서 “사람 중심의 4차산업혁명 구현을 위해 산업 전반의 지능화 혁신을 가속화하고 빠른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지능화 인재를 확보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천종 기자 sky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