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이러한 막말이 처음이 아니라는 데 있다. 과거 우리 측 기자들의 질문에 “무례한 질문을 한다”고 호통치지 않나, 약속 시간에 5분 늦은 조명균 통일부 장관에게 “시계가 주인 닮아서 떨어진다”고 핀잔하는 등 한국의 언론과 장관에 대해 범한 결례가 도를 넘었다. 더 큰 문제는 이러한 북한의 잘못된 관행을 바로잡기는커녕 침묵으로 일관해 온 우리 정부의 태도다. 북한의 빈번한 언어도발에도 정부 인사 그 누구도 대응하지 않고 있다. 심지어는 북한의 심기를 거스를까 두려워 탈북민 출신 기자를 취재에서 배제하는 등 민주국가에서 있어서는 안 되는 일이 목격되고 있다.
![]() |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 |
휴전협정에서 유엔군 대표로 공산 측과 협상을 담당했던 미국의 터너 조이 제독이 당시 협상 경험을 토대로 쓴 ‘공산주의자는 어떻게 협상하는가’에서도 유사한 내용이 발견된다. 그는 크고 작고 간에 모든 문제에서 공산 측에 똑같은 양보를 요구해야 한다는 것을 중요한 교훈으로 꼽았다. 공산 측은 상대방의 양보는 약함의 표시로 인식하는 왜곡된 행태를 보이기 때문에, 배려를 해도 또 다른 양보를 요구한다고 꼬집었다. 당장의 협상을 이어가기 위해 북한을 ‘오냐오냐’하며 키운 부잣집 도련님으로 만든다면 그 대가는 고스란히 우리가 치러야 한다. 북한은 더욱 거만해 질 것이며, 우리가 희망하는 비핵화와 평화체제 구축은 더욱 멀어질 것이다. 이에 서로 존중하는 협상 관행을 만들어야 하며, 그 속에서 서로에게 이익이 되는 협상 내용을 교환해야 한다. 이렇게 남북관계를 정상화해야 한다.
정부는 북한에 리 위원장의 행태에 대해 항의하고, 이러한 일이 재발할 경우 외교상 기피인물로 지정할 수 있다는 당당한 모습을 보여야 한다. 대화가 깨지는 것을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 그런 일이 발생할 상황도 아니다. 현 대화 국면은 한국 정부의 관용과 관여 덕분이다. 북한이 우리와의 대화를 단절하면 가장 큰 후원자를 잃고 고립으로 돌아가는 일이다. 우리의 대북 협상력이 가장 높은 시기가 바로 지금이다. 지금 잘못된 관행을 고치지 못하면 영원히 못 고친다.
남북관계 정상화는 대화 관행의 문제만이 아니다. 협상 태도에서 진정성을 찾아볼 수 없다면 진정성 있는 협상 결과가 나올 리 없다. 따라서 북한이 진정성 있게 한국을 대하게 하는 일은 비핵화나 평화체제 구축의 진정성과도 연계되는 중요한 문제다. 이러한 점에서 남북관계 정상화는 한반도에서 진정한 평화를 구축하는 첩경일 수 있다. 혹여 정부가 여론을 무마하며 북측의 무례를 덮으려 한다면 훗날 부메랑이 돼 고스란히 되돌아 올 일임을 알아야 한다. 지금은 몇몇 기업 총수를 겁박한 일일지 몰라도, 언젠가는 우리 국민을 향해 “지금 목구멍에 밥이 넘어가느냐”고 할지 모르기 때문이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