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서울연구원 집무실에서 만난 서왕진 원장은 “취임 초기 서울연구원의 뛰어난 역량이 시 행정에 제대로 반영이 안 되는 이유를 합리적이고 대등한 관계에서 정보공유가 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찾았다”고 말했다. 그는 이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해 “정책을 다루는 부서와 정례적인 미팅을 통해 서울시정의 핵심정책과제들을 정책적으로 뒷받침하고 공무원이 인식하지 못하는 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두 기관을 이어주고 있다”며 “공무원과 연구원이 관심분야와 업무에 대해 허심탄회하게 연락하면서 필요한 부분을 주고받자 시너지 효과가 나타났다”고 소개했다.
![]() |
서왕진 서울연구원장은 지난 15일 “서울연구원이 ‘연구를 위한 연구’가 아닌 시민의 삶 개선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성과물이 나올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서상배 선임기자 |
1992년 설립된 서울연구원은 개원 26주년을 맞았다. 개원 초기 도시계획, 교통, 환경·엔너지 등 물리적 환경분야에 집중했지만 2000년대부터 인문사회 분야까지 연구범위를 넓혀 서울시는 물론 도시문제와 관련해 뛰어난 종합연구기관의 역할을 충실하게 해내고 있다. 서울연구원에는 박사 80여명, 석사 60여명, 위촉연구원 70여명 등 200여명의 실력 있는 연구자들이 소속돼 있으며 도시에서 발생하거나 예상되는 각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활동을 벌이고 있다.


서 원장은 “시민들이 바라고 기대하는 스마트시티를 찾아내 시민의 참여를 연결하는 방안을 심도 있게 다루는 세미나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부동산 가격 급등과 관련한 대책 가운데 하나로 제시되는 그린벨트 해제론에 대해서는 문제를 해결하는 정책은 아니라고 말했다. 그는 “그린벨트는 녹지보전과 도시팽창을 막는 역할을 하고 있다”며 “그린벨트를 종합적으로 관리하고 주거정책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 원장은 “시민사회와의 협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며 “시민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다양화하고 자유롭게 정책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서 원장은 앞으로 “돌봄문제나 보행도시 전환 등 서울과 중앙정부가 안고 있는 현안에 대해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원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연직 선임기자 repo21@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