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헤더 노어트 국무부 대변인이 7일 자신의 트위터에 공개한 사진으로, 마이크 폼페이오 장관과 회담 중인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 최선희 외무성 부상이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오후 1박2일의 방북 일정을 마치고 평양을 떠났다. 뉴시스 |
북한은 담화를 통해 “미국 측이 조·미 수뇌(북·미 정상) 상봉과 회담 정신에 맞게 신뢰 조성에 도움이 되는 건설적인 방안을 가지고 오리라고 기대하면서 그에 상응한 그 무엇인가를 해줄 생각도 하고 있었다”며 “6일과 7일에 진행된 첫 조·미 고위급 회담에서 나타난 미국 측의 태도와 입장은 실로 유감스럽기 그지없는 것이었다”며 실망감을 드러냈다.
담화는 북한이 이번에 고위급 회담에서 △정전협정체결일(7월 27일)을 계기로 한 종전선언 발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엔진 실험장 폐기 문제 △6·25 참전 미군의 유해 송환 등을 위한 실무협상의 조속한 개시 등에 대한 동시적 협의를 제의했다고 밝혔다.
북한의 제의에 맞서 미국은 완전하고 검증 가능한 불가역적 방식의 비핵화(CVID)가 협상의 목표라는 점을 재확인하고 (핵·미사일 시설 등에 대한) 신고와 검증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북한은 담화에서 “일방적이고 강도적인(강도 같은) 비핵화 요구만을 들고 나왔다”고 반발했다.
담화에서 북한은 7·27 계기 종전선언 요구에 대해서도 미국이 “멀리 뒤로 미루어 놓으려는 입장을 취했다”고 성토했다. 그러면서 “단계적으로 동시 행동원칙에서 풀 수 있는 문제부터 하나씩 풀어나가는 것이 조선반도(한반도) 비핵화 실현의 가장 빠른 지름길”이라고 강조했다.
당초 4·27 판문점 선언에 명시된 종전선언 체결 시점은 연내였으나 북한은 이번 회담에서 7·27 계기로 확 당기자는 요구를 들고 나온 것이다. 이에 대해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연내 체결하기로 한 종전선언을 갑자기 7·27 전후로 하자는 것인데 미국의 기본 입장은 북한의 선행적 비핵화 조치가 이뤄지면 종전선언을 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며 “북한이 지금 시점에서 미국이 종전선언 체결 요구를 받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던진 것이고, 이번 회담의 성과가 없는 이유로 삼기 위한 명분으로 활용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외무성 담화는 이번 고위급 회담에 대한 실망과 불만을 표출하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신뢰심을 아직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며 여지를 남겼다.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에서 도출된 공동성명을 토대로 트럼프 대통령에게 북한의 입장을 수용해줄 것을 촉구하는 성격이 강하다”면서 “북한으로서는 향후 미국과의 추가 고위급 회담을 앞두고 미국의 기선을 제압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다”고 분석했다.
김민서·김예진 기자, 도쿄=김청중 특파원 spice7@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