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1인당 매출 줄고 인건비 증가 … 기업 생산성 ‘제자리걸음’

입력 : 2018-06-03 18:46:08 수정 : 2018-06-03 22:46:41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30대 그룹 5년간 실적 조사 / 작년 1인당 영업익 3481만원 ↑ / 반도체 호황에 가린 ‘착시효과’ / 삼성전자·SK하이닉스 제외 땐 79만원 증가 그쳐 ‘5년 전 수준’ / 한경연 “임금체계 개편 나서야”
반도체 호황에 가린 착시효과를 걷어내면 한국 주요 기업의 생산성이 4∼5년 전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경기도 예상보다 빠르게 침체국면으로 진입하고 있다는 잿빛 전망도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3일 ‘2012년~2017년 30대 그룹 상장사 인건비·재무실적 분석(182개사)’ 결과를 내놨다. 30대 그룹 상장사의 최근 5년간 1인당 인건비는 늘어났지만, 1인당 매출은 줄어들었다는 게 핵심이다.

한경연에 따르면 지난해 30대 그룹 상장사의 1인당 매출액은 10억1815만원, 1인당 인건비는 9133만원, 1인당 영업이익은 1억606만원으로 나타났다. 2012년과 비교하면 1인당 매출액은 5732만원 감소, 1인당 인건비는 1292만원 증가했다. 특히 1인당 영업이익은 3481만원 늘었지만 이마저도 지난해 반도체 호황을 누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빼고 나면 79만원 증가에 그쳤다.

한경연은 “작년 세계교역(10.6%)과 세계성장률(3.8%)이 개선되고 반도체 호황 등 여건이 나아져 기업 매출과 이익이 늘었지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제외하면 사실상 4~5년 전 수준”이라고 혹평했다.

한경연은 지난해의 경우 반도체 호황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영업이익(48조2000억원)이 2개사를 제외한 30대 그룹 상장사의 총영업이익(41조3000억원, 180개사)보다 높았다고 분석했다. 2016년 대비 2017년 총영업이익 증가액(37조6000억원) 중에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31조5000억원(83.8%)을 차지했다. 이로 인해 삼성전자·SK하이닉스를 제외하면 30대 그룹 상장사(180개사)의 2017년 1인당 영업이익은 1억606만원에서 5730만원으로 줄었다.

지난해 30대 그룹 상장사의 총매출액은 895조1000억원이었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2개사가 191조6000억원(22.3%)를 차지했다. 2016년 대비 2017년 총매출액의 증가액(77조8000억원) 중에서도 두 회사가 40조9000억원(52.6%)를 차지했다.

추광호 한경연 일자리전략실장은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를 제외한 30대 그룹 상장사의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2012∼2013년 전으로 복귀한 수준”이라며 “반면 인건비는 기업 실적과 관계없이 꾸준히 늘었다”고 지적했다.

추 실장은 그러면서 “주요 대기업 근로자의 절반이 근속연수에 따라 임금이 매년 오르는 호봉급을 받고 있다”며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임금체계를 생산성과 성과에 연계되도록 개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경기가 예상보다 빠르게 침체국면으로 진입하고 있고, 앞으로 급격한 불황이 도래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이사대우는 이날 발표한 ‘경기 하방 리스크의 확대’라는 보고서에서 “2분기 현재 국내 경제 상황은 경기 후퇴에서 침체국면으로 진입하는 과정에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이는 애초 예측한 경기 하강 속도(2018년 하반기 중)를 넘어서는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2017년 5월을 정점으로 1년여간 하락 기조를 보이고 있고 경기 방향성을 예고해 주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지난해 7월 이후 떨어지고 있다. 설비투자의 경우 3월(전기 대비 -7.8%), 4월(-3.3%) 감소세가 이어지며 2분기 들어 빠르게 떨어지고 있다. 건설투자 선행지표인 건설수주는 4월 들어 42.0%나 감소했다. 수출은 5월 13.5% 늘었지만, 수요 회복에 의한 물량 요인보다 단가 상승에 기댄 측면이 크다는 분석이다.

주 이사대우는 경기하방위험으로 △설비·건설투자 절벽에 따른 성장·고용 창출력 고갈 △가계부채 증가와 소득정체로 인한 소비 제약 △일부 품목에 의존한 산업경기 양극화 △국제 유가 상승에 따른 가계 구매력 위축 △분배 위주의 재정정책으로 경기 안정화 기능 미흡 등을 꼽았다. 그는 “만에 하나 하방 위험이 상당수 현실화하면 한국 경제는 수년 내 보기 드문 ‘내수 불황’ 도래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면서 “향후 급격한 불황 국면의 도래 가능성이 우려된다”고 전망했다.

이천종 기자 sky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리센느 메이 '반가운 손인사'
  • 아일릿 이로하 '매력적인 미소'
  • 아일릿 민주 '귀여운 토끼상'
  • 임수향 '시크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