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열리는 이번 남북정상회담의 가장 중요한 안건은 북한의 비핵화로, 김 위원장의 비핵화 의지를 담아낸 구체적 조치가 나올지가 핵심이다. 김 위원장은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에 앞서 지난 20일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제7기 3차 전원회의를 열고 핵 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및 북부 핵실험장 폐쇄 방침을 결정했다.

하지만 기존의 핵무기 폐기에 대한 언급이 없고 ‘세계적 핵강국‘, ‘핵시험(실험) 중지는 세계적인 핵 군축을 위한 중요한 과정’이라고도 강조해 비핵화 의지라기보다는 ‘핵 강국 선언’에 다름없다는 의구심도 여전한 상황이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23일 “북한이 비핵화를 하겠다고 해서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 판이 만들어졌기 때문에 합의문에 비핵화 의지가 담긴 구체적 조치를 담는 것이 중요하다”며 “김 위원장의 육성이나 합의문을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의지가 담긴 구체적 조치가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전직 외교·안보 고위 관료는 “구체적 비핵화 조치가 나오지 않으면 종전선언이든 평화협정 체결 논의든 사상누각에 불과하다”며 “비핵화 시점을 명확히 하고 핵무기·핵물질·핵시설·핵 프로그램·북한의 NPT(핵확산금지조약) 복귀 및 IAEA(국제원자력기구) 사찰 등 구체적 비핵화 조치에 대한 결과물이 나와야 의미가 있다”고 지적했다.
![]() |
남북정상회담을 9일 앞둔 지난 18일 군사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판문점의 남측과 북측 병사들이 경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
정상회담 준비를 한 경험이 있는 전직 통일부 고위 관료는 “상징적 차원의 완전한 비핵화 의지를 선언하는 수준 정도의 문구만 담길 수도 있지만 김 위원장의 파격 행보와 현재 논의가 진행되는 속도를 보면 우리 예상을 뛰어넘는 조치가 나올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고 했다.
김민서·박수찬·김예진 기자 spice7@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