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도와 남원시는 이날 환영 발표문을 통해 “국립공공의료대학 설립은 서남대 폐교로 상실감에 빠진 전북도민과 남원시민에 큰 힘이 될 것”이라며 적극적인 지지와 환영의 입장을 밝혔다.
송하진 전북도지사는 “지역민들은 그 동안 서남대 정상화를 위해 한마음으로 노력했으나 결국 폐교 결정으로 자존감이 상처받고 지역경제에 큰 충격을 안겨주게 됐다”며 “하지만 이의 대안으로 건의해온 국립공공의료대학 설립이 확정돼 전화위복이 되고 지역사회가 활기를 되찾을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시도는 국립공공의료대학 설립을 위한 세제혜택과 주변환경 기반조성, 인프라 구축 등을 적극 지원해 남원의료원이 거점병원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적극 나설 것”이라는 계획을 밝혔다.
이환주 남원시장은 “전북 동부권의 유일한 대학인 서남대가 폐교해 지역교육 기회가 박탈되고 경제가 침체돼 상실감이 컸다”며 “공공의료대학이 설립되면 지역경제가 살아나고 의료 낙후지역에 대한 질 높은 서비스 제공과 공공의료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시도는 국립보건의료대학이 빠른 기간 내 설립·정착될 수 있도록 관련 법률 제정 등 절차이행의 신속한 추진을 당부했다. 사립학교법에 비리사학 국고환수 조항을 넣는 법 개정과 서남대 청산 과정 등 선행과제 해결에도 적극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회 이용호 의원(남원·임실·순창)도 이날 환영 논평을 내고 “그동안 서남대 문제로 남원시민과 함께 한 노력이 결실을 맺게 돼 큰 보람을 느낀다”며 “국립공공의료대학 설립이 국가 차원의 공공의료 확충과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의원은 이를 위해 당·정·청의 초당적인 협력과 공조가 절실하고 지자체, 지역사회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와 지자체가 가능한 모든 행정수단을 동원해 각종 세제 혜택과 인프라 구축 지원, 제도 개선 등 지원방안을 찾고 집중 투자해야 한다는 견해도 밝혔다.
이 의원은 “국회에서 비리사학 잔여재산 국고환수법인 사립학교법 등 관련법 개정과 의대 설립에 필요한 국가예산 투입 등에 집중해 남원이 명실상부한 공공의료 거점도시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박능후 보건복지부장관과 김태년 민주당 정책위의장 등은 이날 국회에서 공공보건의료발전 종합대책을 통해 지역 의료격차 해소를 위해 남원에 2022년 개교를 목표로 국립공공의료대학을 설립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신설되는 국립공공의료대는 지난 2월말 폐교한 서남대 의대 정원(49명)을 활용하되, 교육은 국립중앙의료원과 남원의료원 등 전국 협력병원에서 순환 방식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전주=김동욱 기자 kdw7636@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