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반 34분. 울산 현대 소속의 이바노비치가 중거리 강슛을 날렸지만 공은 골키퍼 정면으로 날아갔고, 경기를 지켜보던 관중석 여기저기서 “아∼” 하는 탄식이 쏟아졌다. 후반전 52분. 이번엔 AC 밀란의 호날두가 측면 슈팅을 시도했지만 골키퍼가 기다리고 있었다. 다시 경기의 주도권을 가져온 울산 현대의 레반도프스키가 60분쯤 헤딩슛을 시도했지만, 오프사이드 반칙에 걸렸다. 이어진 득점 기회도 무위로 돌아가고 결국 연장전. 휘슬이 울리기 직전 AC 밀란 판 니스텔로이의 헤딩슛이 골문을 가르며, 관객들의 환호성과 박수가 쏟아졌다. 지난달 25일 서울 강남역 인근에 위치한 e스포츠 경기장인 넥슨 아레나에서 ‘피파 온라인3 챔피언십 2017 시즌2’ 결승전이 열렸다. 이날 5전 3선승제로 열린 결승은 5번째 경기까지 가는 접전 끝에 마지막 한 방을 날린 정재영 선수의 승리였다. 비현실적인 라인업, 실제 운동장이 아닌 PC 화면 안에서 대결하는 e스포츠 경기였지만, 관객들의 반응은 실제 경기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궂은 날씨에도 300여 객석은 빈자리를 찾기 어려웠다.
‘보는 게임’ 산업이 전성기를 맞고 있다. 스타크래프트로 시작된 e스포츠는 라이엇게임즈의 ‘리그 오브 레전드’(롤)로 세계화·대형화됐고, 속속 다양한 e스포츠 리그들이 생겨나고 있다. 최근 들어선 모바일 게임 e스포츠 대회도 열리기 시작했다. 이에 더해 온라인 게임 스트리밍(실시간 방송)도 새로운 산업으로 세를 불리고 있다.
◆게임사, e스포츠 산업 띄우기 나서
넥슨은 2013년 전 세계 게임 업체 중 처음으로 e스포츠 전용 경기장인 넥슨아레나를 서울에 개관했다. 넥슨아레나는 지난 4년간 연평균 200회 이상의 경기를 진행했고, 누적 관람객은 23만명을 넘겼다. 지난해 관람객만 5만여명으로, 유사한 규모인 국립극장 달오름 극장의 관객과 비슷한 이용자 수다.
![]() |
지난달 25일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e스포츠 경기장인 ‘넥슨아레나’에서 관객들이 ‘피파 온라인3 챔피언십 2017 시즌2’ 결승전 경기를 지켜보고 있다. 넥슨 제공 |
◆e스포츠 ‘경기 자체가 돈’… 광고 시장 커져
과거 게임업체들은 e스포츠를 자사 게임의 흥행 수단 정도로 여겼다. 하지만 이제 e스포츠는 경기 자체로도 돈이 되는 수준으로 성장했다. 경기 시청자가 늘면서 방송 중계권료가 주요한 수입원으로 떠올랐고, 광고를 하려는 스폰서들도 늘어나고 있다.

북미에서 프랜차이즈 방식의 챔피언십 시리즈(LCS) 리그에 참여하기 위해선 기존 등록 구단의 경우 1000만달러, 신규 구단의 경우 1300만달러를 내야 한다. 총 10개팀이 참여하는 북미 LCS는 막대한 참가비만큼이나 팀들도 쟁쟁하다. 미국 농구팀인 골든 스테이트 워리어스의 공동 소유주인 조이 라콥이 투자한 ‘골든 가디언스’, 휴스턴 로키츠의 ‘클러치 게이밍’, 클리블랜드의 캐벌리어스가 ‘100 씨브스’라는 팀을 만들어 내년 북미 리그에 합류할 예정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전 세계 e스포츠 시장에서 우리나라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14% 정도로 단일 국가로는 적지 않다. 국내에서도 이미 2015년 e스포츠의 스폰서 규모가 여자 프로골프를 앞질러, 프로축구와 프로야구에 이어 3위를 달리고 있다. 액토즈소프트는 올해 지스타에서 첫 종합 e스포츠경기인 ‘WEGL’을 열었으며, 글로벌 핵심 e스포츠 리그로의 도약을 꿈꾸는 등 국내 기업들도 시장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

대형 리그가 아닌, 작은 경기나 잘 알려지지 않은 게임에 대한 소개, 게임 공략 등을 선보이는 개인 게임 방송에 대한 수요도 적지 않다. 국내의 경우 지난해 시장 규모는 830억원으로 이 중 방송 매출이 44.8%, 스트리밍 및 포털 매출(온라인TV 5개사)이 16.4%를 차지했다. 그러나 이는 유튜브와 네이버를 통한 녹화 동영상 매출은 제외한 수치로, 실제 온라인 게임 방송의 규모는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스트리밍의 성장세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17년 e스포츠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스트리밍 분야 매출은 136억5000만원으로 전년에 비해 41% 증가했다. 방송의 매출 증가율은 22%다.
왜 이처럼 e스포츠에 열광하는 걸까. 한국콘텐츠진흥원이 15∼54세 12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e스포츠를 취미로 즐긴다는 응답은 45.1%였으며, 53.1%(긍정 평가 비율)가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또 ‘재미가 있다’(55.3%), ‘자기 만족이 있다’(54.4%)는 답변이 많았다.
그러나 e스포츠가 긍정적으로만 평가받는 건 아니다. ‘인간관계에 도움이 된다’는 질문에 대한 긍정 비율은 25.5%에 그쳤다. 또 다른 여가활동과 비교 평가에선, 운동이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는 평가가 33.7%로 높았고, e스포츠는 2.4%에 불과했다.
엄형준 기자 ting@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