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WT논평] Germany’s sense of superiority

관련이슈 WT사설-논단

입력 : 2017-09-04 23:30:57 수정 : 2017-09-04 23:30:57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By Victor Davis Hanson (historian with the Hoover Institution) ince 1989, Germany has worked hard on its post-unification image as a largely pacifistic country. It is eager to teach other nations how to conduct themselves peacefully and to pursue shared global goals such as reducing global warming or opening national borders to the world’s refugees.

Implicit in Germany’s utopian message is that postmodern Germans know best what not to do ? given their terrible 20th century past, with the aggressions of imperial Germany and later the savagery and Holocaust perpetuated by Hitler’s Third Reich.

The same conceit of an ethnically, linguistically and culturally uniform state that drew Germany into conflict with the United States (whose late entry into both World War I and World War II helped ensure German defeats) has never quite disappeared. Instead, German condescension merely has been updated.

In international finance, Germany de facto runs the European Union on a mercantile system. It manipulates the euro as a weaker currency to swarm export markets in a way that would have been difficult with the older and higher-valued Deutsche mark.

When poorer southern European countries bought too many German goods on easy credit only to default on paying for them, the Germans gave them informed but self-important lectures on their need for Germanic thrift and industriousness. A similar German hubris was true of recent immigration into Europe.

Germans brag about their generous social welfare state and often compare it to a supposedly cutthroat capitalist America. But it is quieter about shirking its NATO membership requirements for defense spending to free up cash for its own citizens ? and making megaprofits from exporting pricey luxury cars to a hyper-capitalist American elite.

독일의 위선적인 평화주의자 행세

빅터 데이비스 핸슨(후버연구소 역사학자)


독일은 자국이 통일 후 주로 평화주의적인 나라라는 이미지를 갖도록 1989년 이래 열심히 노력했다. 독일은 평화적으로 처신하는 방법과 지구의 온난화 축소 혹은 세계의 난민들에 대한 국가의 경계선 개방 같은 것을 다른 나라들에게 열심히 가르친다.

독일의 이상향적인 메시지 속에 내포된 것은, 독일제국의 잇단 침략과 그 후 히틀러의 제3제국이 영속화시킨 야만행위와 홀로코스트로 점철된 참혹한 20세기의 과거에 비추어볼 때 포스트 모던 시대의 독일이 무엇을 할 것인지 가장 잘 안다는 전제이다.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의 뒤늦은 참전이 독일의 패배를 확정지었던 미국과 전쟁을 하도록 독일을 이끌었던 민족적, 언어적, 문화적 통일성에 대한 동일한 자만심이 완전히 사라진 적이 결코 없다. 대신 독일의 가식적 겸양이 단지 새로운 형태로 바뀌었을 뿐이다.

국제 금융 분야에서 독일은 유럽연합의 무역체제를 사실상 운영하고 있다. 독일은 유로화의 평가절하를 조작함으로써 가치가 더 높았던 과거의 독일 마르크화로는 달성이 어려웠던 방식으로 여러 수출시장에 대규모로 진출하고 있다.

독일보다 가난한 남부 유럽 국가들이 손쉬운 외상으로 다수의 독일 제품을 구입한 다음 상품 대금을 지불할 수 없게 되었을 때 독일인들은 그런 나라 사람들이 독일식의 절약과 근면을 필요로 한다는, 유식하지만 거만한 강의를 했다. 최근 유럽의 이민 수용에도 비슷한 독일식 자만심이 적용되었다.

독일인들은 자국의 관대한 사회복지국가 체제를 자랑하고 소위 잔인한 미국식 자본주의와 이를 종종 비교한다. 그러나 독일은 자국 시민들에게 쓸 돈을 풀기 위해 나토 회원국의 국방비 지출 의무 이행을 회피하고 값비싼 고급 자동차를 지나치게 자본주의적인 미국 엘리트들에게 팔아 거대한 수익을 올리는 사실에 대해서는 입을 다문다.

역주=오성환 외신전문위원 suhwo@segye.com

△pacifistic:평화주의적인 △conduct:처신하다 △implicit:암시된, 내포된

△given:비추어볼 때 △perpetuate:영속시키다, 영속화하다 △equate to-:-와 같다

△strong suit:강점, 강한 특색 △conceit:자만심 △condescension:겸손, 생색내는 태도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아인 '미소 천사'
  • 비웨이브 제나 '깜찍하게'
  • 정은지 '해맑은 미소'
  • 에스파 카리나 '여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