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화를 나누고 있는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왼쪽)과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 출처=게티이미지 |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가 온라인 극단주의를 막기 위한 국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테리사 메이는 프랑스의 신임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과의 정상회담을 위해 지난 13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를 방문했다.
영국 매체 BBC 등 외신에 따르면 이날 테레사 메이 총리가 마크롱 대통령과 대테러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특히 두 총리는 구글과 페이스북 같은 소셜미디어 기업들이 테러와 관련된 극단적인 콘텐츠를 유통하지 못하도록 규제하는 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한 것으로 예상된다.
프랑스 방문 전 메이 총리는 성명을 통해 “인터넷이 테러리스트를 위한 공간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두 정상이 더 많은 일을 해야 하는 데 동의했다”면서 “영국은 이미 어린 마음을 뒤흔드는 극단적인 콘텐츠와 해로운 선전들을 막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영국과 프랑스는 소셜미디어 기업들이 네트워크상의 해로운 콘텐츠를 제거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사회적 책임을 지도록 하는데 협력 할 것이며 그 방안에는 그들에게 새로운 벌금을 물릴 가능성도 포함 돼 있다”고 덧붙였다.
![]() |
|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왼쪽)와 페이스북 로고. |
메이 총리는 지난 3일 런던 테러 이후 이슬람 극단주의 이념 확산을 막기 위한 새로운 규제의 필요성과 소셜미디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 5월21일 영국 일간지 가디언이 폭력과 혐오발언, 테러리즘 등이 담긴 선정적인 게시물을 관리하는 페이스북의 내부 규정을 입수해 보도한 것도 하나의 발단이 됐다.
가디언은 자해나 아동학대 관련 영상이라도 관련 주석이 달려있지 않다면 SNS 공간에서 버젓이 유통될 수 있고 자해영상이나 인종혐오 글도 규제 없이 유통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일각에서는 SNS 업체가 선정적인 콘텐츠를 유통하는 알고리즘을 통해 돈을 벌었다면 오히려 사용자에게 시청을 권장해 수익만을 극대화하려고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탈리아 시칠리아에서 열린 G7(주요 7개국) 정상회담에서도 메이 총리는 세계 지도자들을 향해 소셜미디어 기업의 콘텐츠를 제한할 수 있는 국제적인 노력을 촉구하기도 했다.
독일정부도 최근 소셜미디어 기업이 '증오발언'과 ‘범죄 관련 게시물’을 24시간 내에 삭제하지 않는다면 최대 5000만유로(한화 약610억원)의 벌금을 부과하는 내용이 담긴 법안을 지지한다고 선언했다. 아직 해당 입법안은 통과하지 않은 상태다.
이에 페이스북은 AI(인공지능)를 활용하여 문제가 되는 콘텐츠를 자동 제재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하지만 페이스북에 올라온 콘텐츠의 양이 방대하기 때문에 단기간에 도입할 수 없을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인 상황이다. 페이스북은 지난 5월 3000명의 직원을 콘텐츠 관리팀에 추가하며 콘텐츠의 관리감독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구글도 “자사 플랫폼을 악용하는 행태를 퇴치하기 위해 이미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으며 "이 런 움직임을 가속화하고 강화하기위해 국제 포럼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안승진 기자 prodo@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난각 번호 논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0.jpg
)
![[기자가만난세상]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인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73.jpg
)
![[세계와우리] 원잠을 보유할 준비는 됐는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96.jpg
)
![[기후의 미래] 빌 게이츠에 실망한 진짜 이유](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0/128/20251120517163.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