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가시광선을 이용해 물에서 차세대 에너지원인 수소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이종협(사진) 교수팀이 이 같은 연구 성과를 냈다고 15일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햇빛을 이용해 수소를 만들어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연구는 태양광 중 비중이 4%에 불과한 자외선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데 치중됐다. 이 때문에 자외선 양이 적어 수소 생산량의 한계도 뚜렷했다. 최근에는 금 나노입자로 가시광선을 흡수해 열전자를 발생시키는 방법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이 개발됐으나 이 역시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연구진은 금 입자에 2개의 나노소재를 붙인 3성분계 나노구조체를 개발, 열전자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기존 대비 74배 많은 양의 수소를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설왕설래] 베이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0526.jpg
)
![[세계타워] 봄 오는데 장미만 피지 말라는 정부](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1231.jpg
)
![[세계포럼] 캄보디아 사태 이번으로 족하다](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09/10/128/20250910520139.jpg
)
![[기고] 흙 속까지 읽어내는 스마트 농업](http://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128/20251029521111.jpg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