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개인정보가 시중에 유포되지 않았다는 것도 현재로서는 단정짓기 힘들다. 검찰의 말은 금융당국의 말처럼 단정적이지 않다. 대검은 엊그제 “수사기법상 유포한 정황이 없다는 게 지금까지의 결론”이라고 했다. 추가 유출이 드러나지 않았을 뿐이라는 조심스런 태도다.
2차 유출 의혹을 부인만 할 상황이 아니다. 만에 하나 털린 개인정보가 시중에 유통될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정밀한 대책을 세우는 게 금융당국의 올바른 태도다. 카드사도 이에 적극 대처해야 한다. 검찰수사 전까지 개인정보가 유출됐는지도 몰랐던 카드사는 고객 불만 틀어막기에 급급해서는 안 된다.
검찰과 금융당국은 어제 개인정보 불법 유통행위에 대해 ‘무관용 원칙’을 적용하겠다고 했다. 다음달에는 종합대책을 내놓겠다고 한다. 모두 중요하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유출된 개인정보가 신용질서를 무너뜨리는 것을 막는 일이다. 국민을 안심만 시키고자 해서는 해결될 일이 아니다. 유출된 개인정보의 상세 내역을 재검점하고, 유통되는 정보 내용을 하나하나 분석해 진상을 제대로 밝히는 일이 중요하다. 범인의 진술에만 의존해선 안 된다.
현오석 경제부총리는 엊그제 “어리석은 사람이 무슨 일이 터지면 책임을 따진다”, “금융소비자도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지금이 그런 푸념이나 늘어놓을 때인가. 국민 신용을 제대로 지키지 못하는 금융당국 책임자는 모두 옷 벗을 각오를 해야 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